둑 등의 사면을 말한다. 삼녀의 경사는 침투, 미끄럼, 침하에 대한 안정성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데 토질역학적 견지에서 결정되어야 하는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경사는 2∼3할을 취하고 있다.
터파기 공법의 일종으로, 터파기할 때 흙막이벽을 만들지 않고 사면을 만들어 주위의 지반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여 굴착하는 공법. 터파기의 주위가 넓고 지반이 양호하며, 얕은 굴착에 적합하다. - excavation, sheathign
시가지에서 사면에 남는 녹지. 급경사 때문에 건축하지 않고 녹지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며, 녹시율(綠視率)을 높이는 데 유효.
주재의 4면을 동시에 깎을 수 있는 대패 기계.
사면 붕괴 형식의 하나. 붕괴 미끄럼면이 사면 끝에서 위의 경사부에 생기는 형식. 사면 파괴로서는 사면선 파괴. 사면내 파괴. 바닥면 파괴의 형식이 있다.
호안의 표면조도를 증가하며 또한 사면의 덮개 공사가 제분에 대한 침식방지를 꾀하여 호안을 보호하는 공법이다. 시공성에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다.
사면 붕괴에 대한 안정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미끄럼면을 여러 가지로 가정하고 그중 최소의 안전율로써 사면의 안전율로 한다.
불안정한 경사면을 안정한 경사면으로 정형하는 공사. 터파기 경사면의 물매는 토질이나 지질, 터파기의 깊이 등으로 결정되지만 실제로는 용수(湧水), 지하수, 층리(層理), 절리(節理)의 정도, 풍화, 기상 조건 등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다. 안정 계산에서는 지산 전체의 토질을 어떻게 취하는가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토질 조사의 방법이나 토질 판단의 시방에 관해서는 특히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또 지산의 토질에 대한 표준의 뒷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