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로의 기점에서의 거리를 나타내는 표지. 또한, 도로에서는 안내 표지라고도 하며, 목적지의 방향과 함께 그곳으로부터의 거리가 일반적으로 킬로미터(km)로 표시된다.
환형동물의 한 강으로서, 몸의 앞·뒤 끝의 배쪽에 빨판이 있고, 몸의 표면에는 털이 없다. 몸의 앞에 입이 있고 뒤쪽 빨판 위에 항문이 열려 있으며 자웅동체이다. 대부분의 종류가 민물에서 서식하나, 바닷물이나 습지에서 사는 것도 있다. 다른 작은 동물을 먹으며 특히 다른 동물에 외부 기생하여 체액·혈액을 빨아먹는 것이 많다. 약 500종의 현생종이 알려져 있다.
큰 옥석을 매입한 콘크리트. 대형 구조물에 사용된다.
풍속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구조물의 불규칙한 진동. 구조물의 진동 진폭은 일반적으로 풍 속의 크기에 따라서 커진다. 진동의 방향은 바람의 주방향이 된다. buffeting
트러스나 플레이트 거더의 수평 트러스 등의 접합부에서 그곳으로 모이는 부재를 연결 접합하는 강판. 거싯은 격점의 연결에 필요한 최소 한도의 크기로 하고 트러스에서의 두께는 최소 9mm 로 한다. 또 거싯과 부재의 접합은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하는 경우가 많다.
작은 크기의 연흔 형성에 필요한 흐름의 힘보다 더 큰 힘에 의해 만들어진 사층퇴적 구조로서, 반달모양의 구불구불한 마루를 갖는 사구와 일직선의 마루를 갖는 모래파의 두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두가지 형태 사이의 다른 점은 수송 방법이 다르다는 것이다. 사구는 밑짐에 의한 수송이고, 모래파는 부유수송에 의한 것이다.
터널 굴착 방향에 있어서의 굴착면을 말한다.
신축(伸縮)의 변형량을 측정기에 부착된 기울의 회전각으로 바꾸고, 빛의 반사각에 의해 확대하여 측정하는 계기.
섬 또는 육지 주변에 접하여 말달하는 산호초로서, 육지와는 대단히 얕은 수로로 분리되어 있다. 거초는 육지 해안과의 사이에 좁고 얕은 바다를 끼고 있으며, 외양으로는 급사면으로 깊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거초는 산호초의 발달 단계 중 초기에 해당하며, 섬이 침수하면 보초, 거초, 환초의 순서로 변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