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콘크리트 댐의 콘크리트 타입시, 하나의 블록에서 1회 연속 타입하는 부분의 콘크리트 1회분의 높이. (2) 흐름 속에 날개와 같은 상측과 하측의 형상이 다른 물체를 두면 물체는 상측과 하측의 압력이 다르기 때문에 흐름과 직각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데 이 힘을 양력이라 한다. 수문의 교각과 같이 좌우의 형상이 동일한 경우에도 후방에 소용돌이가 좌우 교대로 발생할 때마다 교각 좌우의 흐름의 모습이 변하기 때문에 진동적인 양력이 생기는 수가 있다
낡은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이나 균열이 표층의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그대로 드러나는 것. 표층 두께가 5cm 이하일 때에 발생하기 쉽다.
가설 공사 등에서 사용되는 조명용의 투광기.
트랙터나 불도저 뒤에 갈고랑이를 붙여서 토사난 연암(軟岩)을 파내는 것.
PC 강재에 고장력을 가한 상태 그대로 장기간 양끝을 고정해 두면, 점차 소성 변형하여 인장 응력이 감소해 가는 현상. 질이 우수한 PC 강재의 릴랙세이션에 의한 인장 응력의 감소량은 5%이다.
연립 방정식 해법의 하나. 뼈대의 해법에도 쓰인다. 뼈대의 평형 방정식 {F} [K]{u} 를 {R} [K]{u} -{F}로 바꾸어 쓰고, {R}{0}으로 되도록 {u}를 순차 구해가는 방법이다. 원리적으로는 고정법과 비슷하다.
댐의 지수효과를 목적하는 그라우팅인데 일반적으로 댐의 양쪽 기슭에 수평방향으로 굴착한 터널안에서 아래 쪽을 향해서 시행한다. 저수지에서의 침투류 가운데 양쪽 기슭의 둘레에 대한 침투를 방지한다.
탈산을 하지 않은 잉곳(강괴)을 압연하여 만든 강재. 이 강재는 표면이 아름답고 다량으로 사용되지만, 강괴 상부에 생기는 편석이 압연되어 약점으로 된다. - killed steel
경량 형강 중 Z형을 한 것으로, 양 끝이 좌굴 방지를 위해 굽어져 있다.
경량 형강의 단면 끝을 구부린 것과 같은 모양을 한 것을 말한다. 립 홈형강, 립 Z형강, 립 산형강 등이 있다. 국부 좌굴을 방지하여 단면형을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