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말뚝의 이렉팅(erecting)면 또는 타종(打終)의 두부(頭部) 부근에 말뚝 또는 지반면에 직접 설치한 2개의 수평 부재이며, 널말뚝은 이 2개의 수평재 사이를 지나 타입된다. 도재에는 척각(尺角) 목재 또는 대형 형강이 이용된다.
배토판을 부착하여 정지, 굴착, 흙돋우기, 제설 등에 사용하는 토목 기계의 총칭. 불 도저, 앵글 도저, 틸트 도저, 스노 도저, 트리 도저, 레이크 도저, 푸시 도저 등이 있다.
육지에 접속하지 않고 설치한 방파제를 말하며, 해안선에 따라 흐르는 조류를 막지 않아 항내 수질오염이나 표사의 적체가 적다.
육지에 접속하지 않고 설치한 방파제. 해안선에 따라 흐르는 조류를 막지 않아, 표사의 적체가 적다.
자동 배수 탱크라고도 한다. 하수를 살수 여상법 등으로 처리하는 경우 여상에 단속적으로 하수를 살포하기 위해 만드는 탱크로, 1회에 살포하는 양이 이 탱크에 모이면 자동적으로 하수가 유출하여 살포한다. 사이펀 등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그 작동 원리이다. 이 탱크의 앞에 살수기를 붙여 사용하는 수가 많다.
구성입자(흙·모래 등)의 크기·형상·비중과 그것들을 운반하는 매질(대기·물·얼음 등)의 밀도·상태·운동 상황 등과의 관련에 따라, 구성입자가 나뉘어 퇴적되는 작용을 말한다. 도태작용은 퇴적암 형성상의 중요한 작용이며, 분급작용이라고도 한다.
발파기와 전기 뇌관을 잇는 발파 회로의 저항을 측정하여 발파 모선이나 보조 모선의 단선, 단락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하는 통전 시험.
해안 구조물이나 장해물 등에 충돌하여 공중 높이 튀어오르는 파.
항로표지 시설 중 형상표지의 하나로서, 협소한 항구나 통항이 곤란한 수도와 좁은 항만의 입구 등의 항로를 표시하도록 항로 연장선상에 앞·뒤 2개 또는 그 이상의 탑을 한 쌍으로 설치하여 놓은 것으로 주간에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다.
통과 곤란한 협수도(狹水道)나 항로를 향해하는 선박을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해 항로의 연장선상의 육안(陸岸)에 만든 전후 2개를 멀리 내다보기 위한 푯대로, 등을 갖춘 것을 도등, 갖추지 않은 것을 도표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