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59/1604)

토사 암석의 굴착에 사용하는 건설 기계. 취급하는 토사, 암석의 상태나 굴착 방법 또는 이동성 등에 의하여 많은 종류로 분류된다. 가장 많은 것은 파워 셔블이며, 캐터필러식의 자주(自走) 가능한 본체에서 나온 붐 끝에 굴착용 디퍼가 있고 선단의 어태치먼트를 갈아 끼우면 드래그라인, 클램셸, 드래그셔블 등이 된다. 이외에 불도저, 캐리올스크레이퍼와 같이 운반을 겸한 것도 있다. 최근에 많이 쓰이는 백 호는 굴착 싣기 전용 기계이다.
산지의 굴착작업 주임은 다음사항을 행한다. 1) 작업방법을 결정해서 작업을 직접 지휘한다. 2) 기구 및 공구를 점검해서 불량품을 없앤다. 3) 안전띠 및 보호모자의 사용상황을 감시한다.
천연 자갈과 인공 쇄석으로 5mm의 체에 90%(토목에서는 85%) 이상 남는 콘크리트용 골재. 건축에서는 25mm 이하의 굵은 골재를 사용한다.
입도(粒度)가 거친 모래.
굵기가 0.8mm 이상인 선. 도면의 윤곽선 그리기 등에 사용된다.
(1) 5mm체에 거의 다 남는 골재 (2) 5mm체에 다 남는 골재
중량으로 90%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치수의 체눈을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골재의 치수
프리팩트콘크리트에 쓰이는 굵은골재에서 중량으로 적어도 95%이상 남는 체 중에서 최대치수의 체눈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골재의 치수
옹벽. 사방댐. 호안 산허리 공사 등의 공작물을 굵은돌을 사용하여 쌓아 올린 것. 사용하는 석재의 형에 따라 마름돌쌓기. 견치돌쌓기. 할석쌓기. 옥석쌓기. 야면석(野面石)쌓기가 있으며, 모트라트 등의 교착(膠着) 재료를 석재 사이에 채운 것을 찰쌓기, 그렇지 않은 것을 메쌓기라 한다.
벽의 아래나 바닥에 접하는 곳에 부착되는 횡목.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치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량의 표시를 나타내는 목재를 말하기도 한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