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의 불침투층에 끼인 체수층(滯水層)에 뚫은 샘. 수압이 높은 경우에는 저절로 뿜어 나온다. 지표수가 침투할 때 지충에서 세균류가 제거되어 깨끗한 지하수로 되며, 수도의 수원에도 적합하지만, 물의 경도가 높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단면 형상의 편평화에 의하여 강성이 저하하고, 휨 모멘트와 곡률의 관계에 극대값이 생겨서 재하(載荷) 능력이 저하하는 좌굴.
하나의 매질로부터 다른 매질로 진행하는 파동이 경계면에서 그 진행방향을 바꾸는 현상을 말한다. 굴절은 광파·음파·수면파·지진파 등의 파동에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아지랑이나 밤하늘의 별이 깜박이는 것처럼 보이는 등의 자연현상이 그 예이다.
파도는 굴절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파도의 마루가 해안에 가까워지면 해안선에 거의 나란한 형태로 굽으며 파형이 변하고, 육지의 곶에서는 파랑에너지가 수렴되어 파고가 높아지고 침식이 일어나며, 만에서는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
수심이 얕아지면 파속이 느려진다. 따라서 깊은 곳의 파도는 빠르게 전진하고 얕은 곳의 파도는 느리다. 이와같이 수심에 따라 파도의 진행 방향이 변화하는 현상을 굴절이라 한다. 먼 바다에서의 파고를 Ho, 연안에서의 파고를 H'라 하면 --이것을 굴절 계수라 한다.
- seismic prospecting method
터널의 굴진은 원지반의 강도, 터널단면, 길이, 용수의 다소에 의해서 채택할 공법이 정해진다. 전단면굴착, 상부 반단면방식, 축벽도갱방식, 정설도갱방식, 저설도갱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 굴착하는 것이다. 관거를 이설하는데는 우선 지반을 파지 않으면 안된다. 굴착방법에는 인력굴착과 벨콘병용의 인력굴착 및 기계굴착 등이 있다. 굴착은 지표에서 파는 절개공법과 산악의 터널방식 혹은 쉬일드 터널방식으로 분류된다.
건물의 기초나 지하실을 만들기 위해 소정의 모양으로 지반을 파내는 것.
손으로 파거나 혹은 굴착기 등에 의하여 지반을 파는 공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굴착. 적재. 배토 운반의 작업을 포함한다. 굴착 기계에 의한 경우는전진 굴착. 후퇴 굴착. 수직 굴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