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549/1604)

넓은 뜻으로는 환경이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 좁은 뜻으로는 건물 내 생활 환경의 위생을 유지하고, 바람직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environmental sanitation
환경 오염을 제거하여, 인간이 안전하고 건강한, 그리고 미적. 문화적으로 쾌적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을 확보하는 것. - environment preservation
인간을 둘러싸는 환경에 주어지는 조명. 즉 가로, 공원, 도로, 외관 투광 등의 조명을 의미한다.
환경의 어떤 종류의 상태를 가능한한 정량적으로 표현 혹은 평가하기 위한 척도. 물리. 화학 지표나 생물 지표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지표가 고안되고 있다.
거주 환경에 전파하는, 혹은 거기서 발생하는 진동. 거주자 및 거주 공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진동의 총칭.
대규모 개발 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업자가 사업에 앞서 조사 예측하여 그 결과를 공표하는 제도. 일반적으로 환경 영향 평가 또는 환경 어세스라 한다.
당해 지구의 환경을 지구의 성격이나 목표(거주, 레크리에이션 등)에 따라서 평가하는 것. 재해로부터의 안전성, 교통의 편리, 각종 시설의 수준, 자연 조건 등 여러 항목에 걸친 상황 파악을 한다.
자연 환경 조건에 따르는 하중. 바람 하중, 유체력, 파력(波力), 지진력, 얼음 하중, 얼음 압력, 적설 하중 등이 있다.
(1) 주변 환경의 효과를 평가하는 계수. 특히 눈 하중의 평가에 있어서 구조물 주변의 차폐의 정도, 온도, 풍속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계수를 말한다. exposure factor (2) 사람들을 둘러싸는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자연적, 인위적, 사회적 요소나 조건을 말한다.
공해나 환경파괴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환경공학이라는 학문 분야가 새롭게 생겨났다. 기존에도 하수·상수·폐기물 등은 위생공학이나 토목공학에서, 대기 및 수질오염은 화학공학, 주택 및 실내 환경은 건축공학, 소음 및 진동은 기계공학에서 다루는 등 이미 공학 차원에서 환경에 관한 전문 분야가 세분화되어 있었다. 하지만 공해나 환경파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경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기술적으로 응용해 가는 능력이 요구된다. 환경공학의 기초를 위해 물리, 화학, 생물, 지학, 기상학, 철학, 과학기술론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환경과학의 확립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