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된 유기물질을 호흡기관 또는 촉수를 이용해서 걸러 먹고 사는 해양생물을 말한다. 저서생물 중에 현탁물식자가 낳으며, 부유물식자라고도 한다.
토지 구획 정리, 도시 계획 산업, 기타 공사 개시에 있어서 그 때 현재에 있어서의 지형. 건축물 등의 상태를 확인하여 보상 기타의 기초 자료로 하기 위한 측량.
지금 있는 유수의 횡단면적을 말한다.
점토가 수중에 퇴적하여 굳어진 것. 이판암(泥板岩)이라고도 하며 층상을 이루고 있다. 제 3기 이후(약 35만년 전)에 퇴적한 것은 연질이다. 풍화하여 원래의 점토로 되돌아가지만 물이 투과하기 어려우며 풍화도 깊은 곳까지 진행하지는 않는다. 이 혈석(頁石)이 동력 작용을 받아 단단하고 치밀한 판상(板狀)에는 벗겨지기 쉬운 암석으로 된 것을 점판암(粘板岩)이라 한다. 팽창성 혈암은 1000 ~ 1200℃의 고온으로 소성하면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사람 혈장을 원료로 하여 혈장 내에 포함된 특정 글로불린, 알부민 등의 각종 단백질을 변질시키지 않고 분리 추출하여 의약품으로 가공한 것을 말하며, 그 예로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혈액응고인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