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측정한 온도인 현장온도에 대비되어, 그 해수를 1기압에서 단열팽창 시켰을 때 나타나는 온도를 포텐샬온도라 한다. 유체가 단열팽창하면 온도가 내려가므로 심층수를 떠올리면 온도가 내려가고, 표면에 있던 해수가 가라앉으면 단열압축에 의해 온도가 올라간다. 현장온도와 포텐샬온도의 차는 수심 1km에서는 0.05℃정도이지만, 5km에서는 0.4℃, 7km에서는 0.7℃에 이른다. 온위 또는 잠재온도라고도 한다.
현장 사진과 도로. 건물 등의 투시도를 합성하여 완성후의 경관을 표현하는 수법.
아스팔트 포장의 공용시에 포장 표면에 생기는 국부적인 작은 구멍. 발생 원인은 시공시의 전압(轉壓) 부족, 혼합물의 품질 불량 외에 배수 구조 불량 등이 있다. 보수 방법으로서 불량 개소의 패칭(patching), 국부 재포장, 배수 불량인 경우는 배수 구조의 개량이 필요하다.
formula translator 의 약어. 주로 과학 기술 계산에 쓰이는 프로그래밍 언어. 간단히 수학적 표현을 프로그램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문형 가구(門形架構)를 말한다. 스팬이 넓은 산형 라멘 등이 대표적이다.
1824년 Joseph Aspdin이 특허를 딴 시멘트로 대표적인 수경성 시멘트이다. 주성분으로서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철 및 석회를 포함하는 원료(보통, 석회석, 점토 또는 연규석, 황철광 신터를 사용)를 적당한 비율로 충분히 섞고, 그 일부가 용융하기까지 소성한 클링커에 적당량의 석고를 가하여 분쇄해서 분말로 한 것이다.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早强) 포틀랜드 시멘트, 중용열(中庸熱) 포틀랜드 시멘트 등이 있다.
시멘트의 종류를 크게 나누면 포틀랜드 시멘트, 혼합 시멘트, 특수 시멘트로 분류하며, 포틀랜드 시멘트는 또다시 보통, 중용열, 조강, 초조강의 4종류로 구분한다. 토목공사에 쓰이는 시멘트는 90% 정도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이고 다른 것은 제각기 특질이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서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일정한 조건하에서 함유할 수 있는 최대한도까지 채워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흙 속의 간극에 물이 충만되어 공기 간극이 전혀 없는 경우의 건조 밀도와 함수비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곡선. 제로 공기 간극 곡선이라고도 한다.
흙의 간극은 물과 공기로 가득차 있고 간극 부분의 안을 물이 차지하는 부분과 전체의 비율을 100분률로 나타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