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프선이라고도 하는데 샌드펌프(sand pump)를 배위에 장비해서 흡입관으로 물밑의 흙을 빨아올려 자기의 선창 또는 배출고나으로 배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1) 준설과 매립을 동시에 할수 있다. 2) 시공단가가 헐하다. 3) 능력이 크다. 4) 건조비도 비교적 헐하다. 위와 같은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타설 위치까지의 압송 장치를 탑재한 차. 건축 공사에서의 대부분의 콘크리트 타설은 콘크리트 펌프차에 의한다.
콘크리트 펌프로 이송하여 타설한 콘크리트.
지반의 변위와 동바리에 작용하는 하중과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곡선을 말한다.
관입식 현장 타설 말뚝 공법의 일종으로, 미국에서 고안되었다. 시공법은 많은 변천을 거듭했으나 기본적으로 [1] 2중 강관을 해머로 타입한다. [2] 내관을 빼내고 선단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안구 모양으로 팽창시킨다. [3] 이어서 철근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철근 콘크리트 말뚝을 만든 후 외관을 빼낸다. 일반적으로 제원(諸元)은 직경 35 ~ 50cm, 길이 20 ~ 40m 정도이며, 연직 지지력은 20 ~ 60t/개 정도를 대상으로 하지만 말뚝의
ferrocement
2층 이상의 쇠그물과 지름이 작은 보강 철근을 매입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얇은 판. 보통의 철근 콘크리트에서는 얻을 수 없는 끈기나 충격. 균열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다. 4 ~ 5cm 정도의 두께에 철근과 쇠그물 2층을 배치하므로 품질 관리가 어렵다. 유럽에서 선박 등에 사용되어 발달한 기술이다.
스터드[전단 연결재(shear connecter)의 일종]를 강판에 용착시키는 경우, 용착 부분을 외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고리 모양의 부품.
화물이나 여객을 적재한 열차나 자동차 등을 그대로 싣고 하천이나 해상을 운항하는 연락선. 특징으로서는 하역을 확실하고 신속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두 줄의 도체를 꼬아서 만든 케이블을 다시 여러 가닥 합쳐 한 줄의 케이블로 하는 것. 통신용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