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 부근의 토질 단면은 풍화 작용에 의해 상부로부터 A층, B층, C층 등 특징이 있는 토질이 형성된다. A층 : 부식 물질이나 유기 물질을 많이 포함. B층 : 미세한 입자를 많이 포함한다. C층 : 비교적 풍화의 정도가 낮고 모암의 풍화 적체(積滯) 토층
흙의 입경(粒徑) 분포나 연경(軟硬) 등의 성질에 입각해서 여러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흙의 입도(粒度) 조성. 분류. 물리적 성질. 역학적 성질 및 압밀 특성 등을 살피는 시험.
흙의 성질을 개선하여 지지력을 확보하고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안정 처리를 하는 것. 공법으로서는 토질 개량. 다지기. 탈수. 치환. 화학적 처리 등이 있다.
흙의 공학적 성질에 관한 지식과 경험에 역학, 수리학의 지식을 응용한 학문. 토목. 건축 공사의 계획, 설계, 시행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토질의 개량, 토압, 압밀, 지반의 안정, 옹벽이나 기초의 설계 등에 빠뜨릴 수 없는 것으로 그 실제면에의 응용을 중심으로 한 부문을 토질 공학이라 하며, 품질 관리적인 것으로부터 공해 경제적인 문제까지 폭넓게 취급한다. 토질 역학과 토질 공학은 명확히 구별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지층의 상태, 흙의 성질, 내력, 지하수의 상황을 살펴서 설계. 시공의 자료로 하는 조사. 보링 등에 의해 시료를 채취하여 토질 시험을 한다. 그림은 토질 표본 상자(상면 유리의 나무 상자)의 예로, 채취한 토사의 샘플(코어)을 표토에서 깊이를 표시하여 순차 배열한다. soil investigation, soil survey
지반 구성을 기둥 모양으로 나타낸 그림.
- zoned filldam
새로운 공사의 부지와 현재시설의 안정도 혹은 파괴에 대한 원인조사 및 도로 또는 축제 등에 쓰일 경우의 토질의 적부에 관한 조사를 목적으로 흙에 대한 자료를 구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