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 속에 포함되는 물의 총칭. 지하 수면 이하에 존재하는 것을 단지 지하수라 하고, 지표에서 지하수면을 향해서 침투하는 물을 중력수라 한다. 그 밖에 흙의 틈이나 표면에 보유되고 있는 물을 보유수라 하고 액상(液相)의 것으로서 모세관수. 흡착수. 화학적 결합수로 나뉜다. 기상(氣相)의 것은 증기로서 존재한다. soil moisture
토지 개량법에 따라 농업의 생산성 향상, 농업 구조의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한 농업 용지의 개량, 개발, 보전 및 집단화에 관한 사업.
토지 구획 정리 사업에 있어서 [1]도로 예정지에 건물이 있는 등 공사 시행상 필요가 있는 경우. [2]토지 구획 정리에 의해 도로의 위치, 토지의 형상 등의 대폭적인 변경이 예상되는 경우, 토지 구획 정리 사업 시행자로부터 정리 전의 토지 대신에 사업 시행 동안 임시로 사용 수일할 수 있는 토지로서 지정된 토지를 말한다. 도시 계획을 실현하는 중요한 기초적 방법으로 시설의 공공 용지 확보와 택지의 유효하고 능률적인 이용을 위하여 실시한다.
토지에 관한 일체의 사항이 등기되어 있는 대장. 토지의 매매. 합필. 분필, 그 밖에 토지에 관한 변경 사항은 전부 이 대장에 기록된다.
토지의 형상, 특성, 이용 현황 등에 의해 각 획지를 구분 분류하는 것.
토지의 일정 구획을 소유하는 권리.
공공의 이익이 되는 사업에 이용하기 위해 법에 따라 필요한 토지 등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을 보상금을 지불하여 강제적으로 취득하는 것. land expropriation
토지를 유효하게 사용하는 것. 도시에서는 이용 구분에 따라 주택지, 공업 용지, 상업 용지, 교통 용지, 기타의 형 혹은 그 혼합 형태로 사용된다. 또 이용의 정도에 대해서는 고도 지구 지정이나 용적 제한제 등이 행하여진다.
어떤 토지가 이용될 때의 그곳에서의 여러 활동량 또는 물량의 정도. 단위 면적당의 인구, 건물 바닥 면적, 생산고나 매상고 등으로 나타낸다.
시가지 내의 각종 토지 이용을 적정하게 배치하기 위한 지역제 계획. land use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