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277/1604)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콘크리트교의 가설 방식으로, 교대(橋臺) 또는 교각에서 외팔보 형식에 의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프리스트레스를 주어 순차적으로 보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법. 현장치기(cast-inplace) 하는 방식과 프리캐스트 블록(precast block)을 사용하는 방식의 2종류가 있으며, 전자를 현장치기 공법, 후자를 블록 공법이라 한다.
보링 구멍의 구멍 직경 변화를 측정하는 동시에 밀도 검층에 있어서의 구멍 지름 보정을 하기 위한 장치. 구멍 지름의 측정으로 공벽(孔壁)의 붕괴 상태나 단층. 파쇄대의 유무, 지반의 경도(硬度)나 연도(軟度)를 알 수 있다.
Carifornia bearing ratio의 약칭. 직경 50mm의 관입 피스톤을 공시체(供試體) 표면에 눌러 넣을 때의 일정 관입량에 대한 하중과 표준 하중과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노상토(路床土) 지지력비라고도 한다. 또한 기준면은 충분히 다져진 머캐덤형의 부순돌이 함수량이 변화해도 항상 CBR가 100%라는 점을 기준으로 한다. CBR 시험에는 실내 시험과 현장 시험이 있으며, 실내 시험에서는 96시간 수침시키고 나서 관입 시험을 하며
궤도의 분기점에 두는 것으로, 이동식 분기기를 말한다(제품명).
버력 반출용의 흙 운반차를 교체할 때 크로스 구간을 본선(레일)상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의 교차.
이론상 생각할 수 있는 최저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온도단위를 갖는 온도로서, 절대온도라고도 한다.
[1] 사태 방지재의 부착 고정, 흄관의 이동 방지 등에 사용되는 쐐기 모양의 나무 조각. [2] 차도 또는 보도의 횡단 형상에서 중간이 높게 된 것 또는 횡단 물매를 말한다. 교량. 도로에서는 자중에 의한 처짐이나 노면 배수를 고려하여 붙이는 표수(表水)방향의 휨을 말한다. [3] 교량 거더를 가설후 휨 상태(소정의 높이)로 만들기 위하여 거더의 자체 무게도 고려하여 상향으로 붙이는 휨의 양. 교량 거더는 지간 중앙부를 약간 들어올려 휘게 한다
로스코, 스코필드 등에 의해 개발된 탄소성 이론에 입각한 흙의 구성 모델을 말한다. 이 모델에서는 상태 경계 곡면이나 한계 상태의 개념이 도입되어, 찰흙의 전단. 압밀 현상을 통일적으로 표현한 선구적인 모델로서 그 후의 흙의 탄소성 모델의 기본이 되었다.
대학, 학교, 연구소의 부지와 그 속에 포함된는 건물, 시설의 천체를 말한다.
산, 해변, 고원 등의 자연 속에서 천막 야영을 하는 장소.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캠프장에서는 공동의 급수장, 변소, 쓰레기 처리장 등이 정비되어 있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