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자형으로 틀을 짜서 하상(河床)에 가라앉히고 깬돌.조약돌을 채운 구조물. 수제(水際). 호안(護岸)의 밑다짐, 하상의 세굴 방지 등의 목적에 이용된다. 섶 단상(單床). 섶 침상(沈床). 목공 침상. 개량 목상(木床). 연석상(連石床) 등이 있다.
바다밑이나 또는 냇밑을 해상에서 사전에 굴착하여 기초지반을 정지한 다음에 한편 계선장(dock) 또는 조선소에서 1관체의 길이를 50∼100m 정도의 터널관체를 강철제 또는 콘크리트제로 만들어 예항에서 바라는 장소에 프레이싱 퍼어지 등을 이용해서 침설한다. 침설한 다음에 관체를 되메워서 바다밑을 보호하면서 건설하는 해저터널의 방식을 말한다.
댐이 어느 정도 또는 완전히 완성되면 가배수로를 막아 침수를 한다. 침수의 시기는 저수지의 용량, 하천이 흐름 상황, 수요의 상황, 공사의 진척 상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저수지가 작고 하천의 유량이 풍부한 경우에는 댐 준공과 침수의 시기를 일치시키지만 저수지가 하천의 유량에 비해 큰 경우에는 댐(축조 높이)이 어느 정도 올라가면 풍수기의 물이 빠져 나가지 않는 시기, 또 가배수로의 폐색이 비교적 용이한 시기를 선택하여 침수를 개시한다 [단, 이
부유식의 해양 건축물에서 침수를 최소한으로 하여 전복이나 침목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획.
흙이 수중에 있고 흙입자가 부력의 영향을 받는 상태.
홍수에 의하여 물에 잠긴 토지.
침강해안과 혼용하여 사용되며, 해수면의 상승 또는 지각 변동에 의해 육지가 상대적으로 침수하여 생긴 해안을 말한다. 리아스식 해안, 피오르드해안 등이 이에 속한다.
유수에 의한 모래 등의 이동, 바람에 의한 모래의 날림, 유수의 충격 및 캐비테이션 등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의 손상. - cavitation
단순한 평면이었던 지면이 진 세월 동안 침식을 받아, 마지막으로 준평원성의 지형으로 변할 때까지의 과정.
흙 속의 중력수(重力水) 표면을 나타내는 선을 말한다. seepage line, saturation 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