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를 정전 기록지에 대전시킨 다음 토너를 부착시켜 열압착으로 정착하는 방식의 플로터. A1용지 등 대면적의 고속 플로터로서 뛰어나다.
전로를 개로해서 정전하여 공사 등을 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개폐기에는 시정하거나 통전금지를 표시하여 감시인을 둔다. 2) 전력케이블, 전력콘덴서 등이 있으므로 잔류전하에 의한 위험이 있을 경우는 확실하게 방전시킨다. 3) 고압 또는 특별고압의 경우는 정전을 확인하고 확실하게 短絡接地한다. 4) 통전할 때는 감전의 위험은 없으나 단락 접지기구를 떼어내는 것을 확인한 다음에 한다.
electric dust collector
투시도에서 시점(視點)을 평면에 내린 점. 투시도법에서는 시심(視心)과 함께 중요한 점이며 S점이라 한다.
힘의 평형 조건만으로 지점 반력(支點反力)이나 부재 응력이 모두 구해지는 구조물의 상태를 말한다. 평면 뼈대에서는 아래의 판별식이 0으로 되었을 때가 정정이다. s + r + n - 2k 0 여기서, s : 부재수, r : 강접합수, n : 반력수, k : 절점수.
선로 보선 작업(線路保線作業)의 일종으로, 이음 유간 작업, 궤도간 정정, 궤도면 정정 등이 있다.
정정인 상태에 있는 구조물. 정정 보. 정정 라멘. 정정 트러스. 정정 아치 등이 있다. 막 응력 상태에 있는 어떤 셸도 막이론에 의해 힘의 평형 조건만으로 풀 수 있으므로 정정 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부정정 구조물을 응력법으로 풀 때 사용하는 것으로, 부정정 구조물의 반력 또는 부재 응력의 일부를 미지수인 부정정력으로 치환하여 정정 구조물로 고친 계. primary system
부정정보의 해법으로서 부정정력(미지의 반력을 하중으로 한다)을 0과 같게 하여 얻어지는 정정 구조. 그림에서의 정정 기본계는 단순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