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에 있어서 흐르는 물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유량. 유지 유량과 수리 유량의 쌍방을 만족하는 유량으로서 하천 관리를 위해 정해진다. 여기서 유지 유량이란 주운(舟運), 어업, 경관(景觀), 염해(鹽害)의 방지, 하구 폐색의 방지, 하천 관리 시설의 보호, 지하 수위의 유지, 동식물의 보존, 유수의 청결 유지 등을 위해 갈수(渴水)시에 유지해야 하는 유량이며, 수리 유량이란 그 유량이 정해진 지점보다 하류에 있어서의 용수(수리권)를 위해 필요한 유량을 말한다. 하류의 계획 기준점의 자연 유량이 정상 유량에 이르지 않을 때 그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다목적 댐으로부터의 방류에 대비하여 만들어진 저수 용량을 불특정 용량이라 한다.
확률 과정의 성질이 시각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경우 시간적으로 불변인 확률 과정을 생각한다. 정상 과정에서는 평균값 및 제곱 평균값은 일정값을 유지하고, 자기 상관 함수는 시간차만의 함수가 된다.
흐름의 상태가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일정한 흐름을 말한다.
진행파에 대비되는 파로서, 공간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수직운동만 하는 파를 말한다. 진행방향만 서로 반대인 2개의 진행파가 간섭하면 진행하지 않는 정상파가 발생한다.
해안의 절벽에 가까운 수면을 보면 파도가 진행하지 않고 수면상의 같은 장소에서 같은 진동을 되풀이하고 있는데, 이것은 안벽에 밀어닥치는 파도와 반사된 파도가 겹쳐져서 파도의 마루와 골이 일정한 장소에 머물고 진폭만이 변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현상은 정상파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기계회시공에 있어서 작업상 부득이한 손실시간을 말한다. 기계의 조정, 일상의 소수리, 연료보급 등에 따른 손실은 정상손실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