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부채/채무/채권 (2024년 결산기준)

부채/채무/채권

부채/채무/채권 다운받기 한글파일 다운로드
3-1 통합부채현황
  • 통합부채는 지방자치단체, 「지방공기업법」에 따른 지방공기업,「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출자·출연기관의 부채를 통합하여 산정한 부채입니다.

‣ 통합부채현황 산정결과 확정 후 별도 수시 공시(’25.12월)할 예정입니다.

3-2 지방자치단체 부채 현황
  • 부채란 금융기관의 채무를 포함하여 향후 지방자치단체가 지급의무(퇴직금, 미지급금, 보관금 등)가 있는 것을 복식부기 형태로 표시한 것으로, ‘3-6. 지자체 채무 현황’의 지방채무와 ‘3-3. 지방공기업 부채’ 중 직영기업(공기업 특별회계)의 부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리 부산시의 부채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억원, %)

지방자치단체 부채 현황에 대한 표이고 구분, 2022년, 2023년, 증감, 비고로 구성된 목록입니다
구분 2023년 2024년 증감 비고
자산(A) 489,499 501,096 11,597
부채(B) 48,647 54,291 5,644
자산대비부채비율
(B/A*100)
9.94 10.83 0.89

발생주의 복식부기회계 기준

부 채 : 유동부채, 장기차입부채, 기타비유동부채

  • 유동부채 : 단기차입금, 유동성장기차입부채, 기타유동부채 등
  • 장기차입부채 : 장기차입금, 지방채증권
  • 기타비유동부채 : 퇴직급여충당부채, 장기예수보증금 및 미지급금 등

자 산 : 유동자산, 투자자산, 일반유형자산, 주민편의시설, 사회기반시설, 기타비유동자산

우리 시의 결산기준 자산대비 부채비율은 10.83%로 전년대비 5,644억원 약 11.6% 증가하였으며, 주요 요인은 전년도 대비 유동부채 4,613억원 증가 등입니다.
3-3 지방공기업 부채 현황
  • 우리 부산시의 지방공기업 부채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방공기업 부채 중 ‘직영기업’의 부채는 지방자치단체의 ‘공기업 특별회계’의 부채로서 ‘3-2. 지방자치단체 부채 현황(발생주의 복식부기회계 기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위 : 억원, %)

지방공기업 부채 현황에 대한 표이고 구분, 2022년(자산(A), 부채(B), 자본(C), 부채비율(B/C)×100), 2023년(자산(A), 부채(B), 자본(C), 부채비율(B/C)×100)으로 구성된 목록입니다
구분 2023년 2024년
자산(A) 부채(B) 자본(C) 부채비율
(B/C)×100)
자산(A) 부채(B) 자본(C) 부채비율
(B/C)×100)
합계 125,322 33,346 91,976 36% 130,476 38,299 92,176 42%
직영기업 소계 52,647 4,715 47,932 10% 53,447 5,325 48,121 11%
상수도 23,017 207 22,810 1% 22,819 171 22,647 1%
하수도 29,630 4,508 25,122 18% 30,628 5,154 25,474 20%
공사공단 소계 72,675 28,631 44,044 65% 77,029 32,974 44,055 75%
부산교통공사 40,158 16,537 23,621 70% 41,078 18,092 22,986 79%
부산도시공사 31,614 11,373 20,241 56% 34,930 14,063 20,867 67%
부산관광공사 162 34 128 26% 177 29 148 19%
부산시설공단 621 567 54 1,059% 708 654 54 1,210%
부산환경공단 120 120 - - 136 136 - -
우리 시 산하 지방공기업 중 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부산시설공단으로 전체 비금융부채로서 퇴직급여충당금, 임대보증금을 제외하면 차년도에 전액 해소되는 선수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퇴직급여 사외적립 등으로 부채감축을 위한 노력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광공사는 자체 사업장 매출 증대를 위한 자구적 노력, 대행사업 집행잔액 최소화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부채비율 감소와 재정건전성 제고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3-4 출자·출연기관 부채 현황
  • 우리 부산시의 출자·출연기관 부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억원, %)

출자·출연기관 부채 현황에 대한 표이고 구분, 2022년(자산(A), 부채(B), 자본(C), 부채비율(B/C)×100), 2023년(자산(A), 부채(B), 자본(C), 부채비율(B/C)×100)으로 구성된 목록입니다
구분 2023년 2024년
자산(A) 부채(B) 자본(C) 부채비율
(B/C)×100)
자산(A) 부채(B) 자본(C) 부채비율
(B/C)×100)
합 계 11,580 3,615 7,964 45% 11,816 3,851 7,965 48%
출자기관 소 계 3,255 1,580 1,675 94% 3,335 1,572 1,763 89%
㈜벡스코 933 114 819 13% 1,000 110 890 12%
아시아드 컨트리 클럽(주) 2,322 1,466 856 171% 2,335 1,462 873 167%
출연기관 소 계 8,325 2,035 6,289 32% 8,481 2,279 6,202 37%
부산광역시의료원 305 164 141 116% 272 311 △39 -
부산연구원 173 13 159 8% 176 21 154 13%
부산신용보증재단 4,261 971 3,290 30% 4,506 1,110 3,396 33%
부산테크노파크 2,047 177 1,870 9% 2,008 208 1,800 12%
부산여성가족과평생교육진흥원 25 3 22 12% 31 5 26 19%
부산정보산업진흥원 279 163 116 140% 215 98 117 83%
부산글로벌도시재단 34 4 30 12% 36 4 32 14%
부산사회서비스원 6 2 4 42% 8 1 7 12%
부산디자인진흥원 103 91 12 779% 70 60 11 543%
부산경제진흥원 484 271 213 127% 617 356 261 136%
부산문화재단 442 76 366 21% 433 65 368 18%
영화의전당 33 13 20 62% 30 11 19 58%
부산과학기술
고등교육진흥원
83 52 31 169% 43 10 33 30%
부산문화회관 50 35 15 232% 36 19 17 110%
소상공인 신용보증(신용보증재단), 자산형성사업(경제진흥원) 등의 기관 목적사업량의 증가 등으로 부채의 규모 및 비율은 증가하였으나, 우리 시 산하 출자·출연기관의 평균 부채비율은 48%로, 대부분이 이자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비금융 부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3-5 우발부채편 현황
  • 우발부채는 상황의 변동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부채로 바뀔 가능성이 있는 부채를 의미하며, 지방자치단체, 「지방공기업법」에 따른 지방공기업 및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출자·출연기관의 전체 우발부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발부채 현황은 산정결과 확정 후 별도 수시 공시(‘25.12월)할 예정입니다.

3-6 지자체 채무 현황
  • 지방(자치단체)채무란 지방자치단체가 자치단체 권한 중의 하나인 지방세 과세권을 담보로 하여 사업 투자재원을 조달하는 채무를 의미합니다(상환기간은 1회계연도를 넘어서 이루어짐). 우리 부산시의 채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억원)

지자체 채무 현황에 대한 표이고 구분, `22년도 현재액(A), 증감액(계(B=C+D), 발생액(C), 소멸액(D)), `23년도 현재액E=(A+B)으로 구성된 목록입니다
구분 `23년도 현재액(A) 증감액 `24년도 현재액
E=(A+B)
계(B=C+D) 발생액(C) 소멸액(D)
합 계 31,382 31 7,554 7,523 31,413
일 반 회 계 17,367 2,363 5,895 3,532 19,730



소 계 10,011 △1,838 1,216 3,054 8,174
공영차고지조성사업특별회계 15 △15 0 15 0
도시철도사업특별회계 8,241 △67 1,216 1,283 8,174
장기미집행도시계획시설대지등보상특별회계 1,755 △1,755 0 1,755 0
기 금 회 계 4,003 △494 443 937 3,509

※ 지방채무는 2024년도 기준으로 작성(BTL 지급액 제외)

※ ’24년 채무결산보고서의 회계별 현황 참조(원금 기준)

※ 24.1.1.특별회계(공영차고지조성사업, 장기미집행도시계획시설대지등보상) 폐지, 폐지특별회계의 채무잔액 1,770억원을 일반회계 발생액으로, 특별회계 소멸액으로 반영

2024년 발행액은 도로건설( 만덕~센텀 도시고속화도로 등), 매출채권 등 지방채증권 2,644억원, 분뇨처리시설 현대화사업 등 차입금 3,140억원 등 총 7,554억원입니다. 그러나, 폐지특별회계 채무를 일반회계로 반영한 1,770억원을 제외하면 실제 발생액은 5,784억원입니다.
2024년 상환액은 산성터널접속도로 건설 등 지방채증권 4,611억원, 도로건설(을숙도대교~장림고개) 등 차입금 1,142억원 등 총 7,523억원이나, 폐지특별회계 채무를 일반회계로 반영한 1,770억원을 제외하면 실제 소멸액은 5,753억원입니다.
결산상 채무 잔액은 작년 대비 31억원이 증가한 31,413억원으로, 우리 시는 안정적인 채무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지방채무 연도별 현황

(단위 : 억원)

지방채무 연도별 현황에 대한 표이고 구분, 연도별(2019, 2020, 2021, 2022, 2023)으로 구성된 목록입니다
구분 연도별
2020 2021 2022 2023 2024
채무현황 29,210 32,275 31,586 31,382 31,413
인구수 3,391,946 3,350,380 3,317,812 3,293,362 3,266,598
주민 1인당채무
(천원)
861 963 952 953 962
주민 1인당 채무 규모
                2019:
                우리시 - 753
                유형평균 - 613
                2020:
                우리시 - 861
                유형평균 - 784
                2021:
                우리시 - 963
                유형평균 - 966
                2022:
                우리시 - 952
                유형평균 - 1,033
                2023:
                우리시 - 953
                유형평균 - 1,017
3-7 지방채발행 한도액 및 발행액
  • 지방채발행한도액은 행정안전부의 한도 산정기준 지침(행안부장관→지자체)에 따라 자치단체에서 자체 산정한 기본한도액(지자체→행안부장관)에 별도한도를 더한 금액이며, 발행액은 지자체가 당해연도에 실제 발행한 지방채 규모입니다. 최근 5년 한도액 및 발행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억원, %)

지방채발행 한도액 및 발행액에 대한 표이고 구분, 연도별(2019, 2020, 2021, 2022, 2023)으로 구성된 목록입니다
구분 연도별
2020 2021 2022 2023 2024
지방채발행한도액(A) 9,127 7,835 6,287 6,635 9,912
발행액(B) 8,975 8,374 4,073 4,081 7,554
발행비율(B/A*100) 98.33% 106.88% 64.79% 61.51% 76.21%

지방채발행한도액은 행정안전부의 한도 산정기준 지침(‘23.7., 행안부장관→자치단체)에 따라 자치단체에서 자체 산정*한 기본한도액(’23.7., 자치단체→행안부장관)에 별도한도를 더한 금액이며, 발행액은 자치단체가 당해연도에 실제 발행한 지방채 발행액임
* 지방재정법 개정(’20.4.) 따라 지방채 한도 산정 권한이 행안부장관에서 자치단체로 변경

2013년부터 지방채발행한도액은 기본한도액에 별도한도액을 더한 금액으로 산정
* 별도한도액 = 의무매출채권(지역개발,도시철도) + 차환채 +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등
** 차환채 = 기존 지방채를 신규 지방채로 대체 발행하는 지방채로써 24년은 총상환액의 50%까지 별도한도로 인정

※ 2013년부터는 제도 변경에 따라 지방채발행한도액(A)에는 행정안전부에서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는 ‘기본한도액’과 승인 간주분을 별도로 설정한 ‘별도한도액’을 더한 금액을 기재

우리 시의 지방채 발행 한도액은 9,912억원(별도한도액 포함)이며, 발행액은 7,554억, 발행비율은 76.21%입니다. 폐지특별회계의 채무를 일반회계로 반영한 1,770억원을 제외한 한도액은 8,142억원(별도한도액 포함)이며, 실제 발행액은 5,784억원, 발행비율은 71.04%입니다. ‘23년 대비 발행액은 1,703억원 증가하였고, 발행비율은 9.53%p 증가하였습니다.
3-8 일시차입금 현황
  • 일시차입금이란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을 지출함에 있어 일시적으로 예산상 현금의 부족이 생길 때 해당 회계연도의 수입으로 상환한다는 전제하에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단기간 차입하는 자금을 의미합니다.

☞ 부산시는 2024년도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9 민자사업 재정부담 현황
  • 민자사업 재정부담이란 민간투자사업(BTL, BTO 등)으로 인하여 자치단체가 민간사업자에게 지급하는 임대료와 재정지원금 등을 의미합니다. 우리 부산시가 민자사업으로 부담하고 있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억원)

민자사업 재정부담 현황에 대한 표이고 구분, 2022년, 2023년, 증감, 비고로 구성된 목록입니다
구분 2023년 2024년 증감 비고
합계 1,435 1,577 142
BTL 임대료 및 운영비 525 543 18
BTO 재정지원금 910 1,034 124

BTL 사업관련 시설임대료는 현재가치로 평가하여 부채로 계상하고 있음

※ 2024회계연도 민자사업 재정부담 세부내역

(단위 : 억원)

2023회계연도 민자사업 재정부담 세부내역에 대한 표이고 구분, 사업명, 총사업비, 계약기간, 재정부담액(소계, 국비, 시도비, 시구군비), 비고로 구성된 목록입니다
구분 사업명 총사업비 계약기간 재정부담액 비고
소계 국비 시도비 시군구비
합계 41,461 1,577 122 1,451 4
BTL
사업
(11)
부산정보고속도로 고도화 144 ‘19.10.~’29. 9. 34 30 4
부산노인전문 제4병원 92 ‘14. 8.~’34.7. 13 4 9
부산영화체험박물관 328 ‘17. 4.~’37. 3. 44 44
감전분구
하수관거 정비
604 ‘15.11.~’35.11. 54 13 41
삼락·덕천분구
하수관거 정비
573 ‘16. 7.~’36. 7. 49 12 37
대연·용호분구
하수관거 정비
716 ‘18. 1.~’38. 1. 66 18 48
수민분구
하수관거 정비
801 ‘18.11.~’38.11. 76 20 56
사직·장전분구
하수관거 정비
794 ‘20. 5.~’40. 5. 65 17 48
중앙·초량·범천분구
하수관거 정비
743 ‘21. 4.~’41. 4. 62 17 45
전포·문현·범천분구
하수관거 정비
850 ‘21. 4.~’41. 4. 71 19 52
하단분구
하수관거 정비
776 ‘24.11.~’44.11. 9 2 7
BTO
사업
(8)
백양터널 737 ‘00. 1.~’25. 1. 115 115
수정산터널 1,281 ‘02. 4.~’27. 4. 127 127
부산항대교 3,715 ‘14. 8.~’44. 8. 98 98
을숙도대교 3,596 ‘10. 2.~’40. 1. 85 85
거가대로 14,380 ‘11. 1.~’50.12. 238 238
산성터널 1,931 ‘18. 10.~’48. 9. 15 15
천마터널 1,658 ‘19. 4.~’46. 12. 42 42
부산-김해 경전철 7,742 ‘11. 9.~’41. 9. 314 314

BTL(임대형 민자사업)이란?

  • - 수익성은 떨어지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학교, 회관 등의 사회기반시설을 민간사업자가 건설하고, 지자체가 이를 임차하여 민간사업자에게 사용료를 지급하는 방식의 민간투자사업

BTO(수익형 민자사업)란?

  • 수익성이 있는 도로, 교량, 터널 등 시설을 민간사업자가 건설 후 지자체에 양도한 대가로 민간사업자에게 해당 시설에 대한 일정기간 운영 수익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의 민간투자사업
3-10 재정건전성관리 계획·이행현황
  • 지방재정건전성관리계획은 「지방재정법」 제87조의3에 근거하여 작성되며 이는 ’24년도 통합부채와 우발부채의 변동 상황, ’24년도 통합부채와 우발부채 추정액, ’24~’28년도 기간에 대한 통합부채와 우발부채의 변동전망과 근거 및 관리계획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방재정건전성관리계획 작성지침에 따라 별도 공시(’25.12. 작성 후 공시예정)

3-11 보증채무 현황
  • 보증채무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공익을 위해 필요한 경우 미리 지방의회 의결을 받아 지급을 보증하는 행위로서 우리 부산시가 2024년 한 해 동안 지급보증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산시는 2024년도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12 채권현황
  • 채권이란 지방자치단체의 사업계획에 따라 사업자 및 개인에게 지원(융자)하고 정해진 기간 안에 채무자로부터 회수되거나 사법적 계약에 의한 증권입니다. 우리 부산시가 보유하고 있는 채권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억원)

채권현황에 대한 표이고 구분, ’22년도 현재액 (A), 증감액(계(B=C-D), 발생액(C), 소멸액(D)), ’23년도 현재액 (A+B)으로 구성된 목록입니다
구분 ’23년도 현재액 (A) 증감액 ’24년도 현재액 (A+B)
계(B=C-D) 발생액(C) 소멸액(D)
합 계 903.7 8.8 209.5 200.7 912.5
일 반 회 계 400.4 △40 19.1 59.1 360.4



소 계 0.2 - - - 0.2
공기업특별회계 0.2 - - - 0.2
기타특별회계 - - - - -



소 계 503.1 48.8 190.4 141.6 551.9
중소기업육성기금 472.0 51 179.0 128.0 523.0
자활기금 5.1 1.7 3.4 1.7 6.8
식품진흥기금 26.0 △3.9 8.0 11.9 22.1

’24년 결산결과 채권현재액보고서의 회계별 채권관리현황

(단위 : 억원, %)

연도별 결산결과 채권현재액보고서 회계별 채권관리현황의 기준년도 현재액에 대한 표이고 구분, 연도별(2020, 2021, 2022, 2023,2024)으로 구성된 목록입니다
구분 연도별
2020 2021 2022 2023 2024
채권현황 855.3 802.9 863.9 903.7 912.5
최근 5년 채권 현황
                    2019:
                    우리시 - 989
                    유형평균 - 4,357
                    2020:
                    우리시 - 855
                    유형평균 - 5,716
                    2021:
                    우리시 - 803
                    유형평균 - 4,094
                    2022:
                    우리시 - 864
                    유형평균 - 4,137
                    2023:
                    우리시 - 904
                    유형평균 - 4,754

연도별 결산결과 채권현재액보고서 회계별 채권관리현황의 기준년도 현재액

자료관리 담당부서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