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총 32건 (3/3page)
-
부산시, 올해 정보화사업 설명회 개최… 지역 정보통신기술(ICT) 활성화 나선다!정보화담당관 | 김희선 | 051-888-2356 | 2024-01-23◈ 1.23. 14:00 시청 국제회의장에서 개최… 올해 발주예정 정보화사업에 대한 정보 제공 ◈ 시,구・군,공사・공단,출자․출연기관,부산이전공공기관 등 476개 사업에 518억 원 투입 ◈ 지역기업의 참여 기회 확대로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의 성장과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 올해 수산물 안전성 조사 확대 및 안전관리 체계 강화수산자원연구소 | 최병언 | 051-209-0944 | 2024-01-23◈ 안전한 수산물 생산·공급 환경 조성 위해 ▲검사물량 확대(350건→450건) ▲감마핵종분석기 1대 추가 확충 ▲검사결과 공개주기 단축(월 2회→주 1회) 등 추진 ◈ 지난해 연구소가 실시한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
박형준 시장,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 취임 이후 첫 총회 주재자치분권과 | 이영선 | 051-888-1812 | 2024-01-22◈ 1.22. 11:00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58차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임시총회 주재… 그간 추진 중인 안건 점검하고, 시도지사들과 새롭게 상정된 안건 논의해 ◈ 박 시장, 인구문제와 지역균형발전을 함께 논의할 수 있는 (가칭)인구지역균형발전부 신설을 제안하며, “17개 시도가 지역균형발전에 한목소리를 내며 공동 대응해야 한다”라고 강조 ◈ 아울러, “제2국무회의인 중앙지방협력회의를 십분 활용해 회장
-
서부산권에도 달빛어린이병원 2곳 생겼다!… 2월부터 운영 개시보건위생과 | 전은정 | 051-888-3642 | 2024-01-22◈ 부산시, 2.1.부터 강서구 명지동 소재 명지아동병원과 사하구 장림동 소재 부산더키즈병원을 달빛어린이병원으로 지정․운영… 평일 저녁 7시까지, 휴일 오후 6시까지 진료 ◈ 응급실 외에도 경증환자의 평일 야간 및 토․일․공휴일 외래진료 가능한 달빛어린이병원 확충으로 의료접근성 높이고 응급실 이용으로 인한 불편, 비용부담 줄일 것으로 기대 ◈ 특히, 서부산권에 2곳이 확충되면서 기존 동부산권에 치우친 달빛어린
-
부산시, 찾아가는 의료버스 운영 수탁기관 모집보건위생과 | 김유진 | 051-888-3415 | 2024-01-22◈ 2.1.~2.5. 찾아가는 건강의료서비스 사업의 '의료버스 운영' 사무 수탁 의료기관 모집… 시 소재 보건의료기관 또는 보건의료 관련 비영리단체면 응모 가능 ◈ 주요 사무는 ▲의료버스 이용 의료취약계층 방문 의료서비스 지원 ▲만성질환 관리 등 유관기관 연계 및 후속관리 등이며, 위탁 기간은 2024.3.1.~2026.12.31.
-
부산시, 영도구 중소형 조선산업 구조 고도화 지원사업 추진해운항만과 | 이정훈 | 051-888-7654 | 2024-01-22◈ 지방소멸 대응 위한 중기부의 시군구 연고산업 육성사업 공모에 선정됨에 따라, 2025년까지 사업비 12억 원 투입해 수리조선 산업 등 영도구 중소형 조선산업 고도화 지원 ◈ 혁신화․성장촉진, 인식개선, 사업화 지원, 패키지형 지원 등 추진해 수리조선 등 영도구의 중소형 조선산업 고도화 이끌어내고, 관련 앵커기업 발굴·육성 기대
-
동백아가씨의 영원한 연인, 『작곡가 백영호 평전』 북콘서트 개최부산근현대역사관 | 하은지 | 051-607-8034 | 2024-01-22◈ 1.28. 14:00 근현대역사관 별관에서 개최… '동백아가씨', '해운대엘레지' 등 수많은 히트곡을 남긴 부산 서구 출신 고(故) 백영호 작곡가의 일대기를 담은 『작곡가 백영호 평전』 발간 기념 ◈ 장남 백경권이 엮은 백영호의 삶과 구술 기록 강연과 소리꾼 장사익 특별 공연 등 진행
-
어린이통학로 종합안전대책, 시 누리집에서 만나봐요!보행도시정책과 | 강주화 | 051-888-1354 | 2024-01-21◈ 시민들이 어린이 통학로 종합안전대책과 어린이 보호구역 정책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내일(22일)부터 시 누리집 개편 운영 ◈ 어린이 통학로 종합안전대책 관련 주요 정책, 보호구역 지정현황, 관련 법규 등 확인할 수 있어 ◈ 시민의 알권리 충족과 정책 참여 기회 제공을 위해 정책 소통 플랫폼 역할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