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보도자료

- 부산시 대기질 개선효과 국제적 홍보! -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 연구논문 네이처발행 과학저널 게재
부서명
보건환경연구원
전화번호
051-309-2765
작성자
장은화
작성일
2023-06-20
조회수
486
공공누리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부제목
◈ 5.29. 세계적인 과학저널 ‘기후와 대기과학’에 항만지역 배출량 관리에 따른 부산시 대기질 개선효과 입증한 논문 게재돼 ◈ 대기질 평가 기반시설(인프라) 조기 구축으로 선박배출량 규제 영향을 과학적으로 증명해 ◈ 2020년부터 선박 관련 초미세먼지 및 유해금속성분 큰 폭으로 감소, 시민건강피해 예방
내용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2021년 수행한 자체연구와 관련해 항만지역 배출량 관리에 따른 부산시 대기질 개선효과를 입증한 논문이 지난 5월 29일 네이처 출판그룹에서 발행하는 세계적인 과학저널인 ‘기후와 대기과학(npj Climate and Atmospheric Science)’에 실렸다고 밝혔다.

 

  선박은 부산에서 발생하는 초미세먼지의 최대 배출원으로*, 부산시는 2020년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 이전인 2018년부터 이미 대기환경측정소**와 초미세먼지 자동성분분석시스템을 항만지역에 설치해 대기질 정보를 수집해왔다. 또한, 대기질 정책효과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대기질 진단평가시스템을 2016년 전국 지자체 최초로 구축하는 등 부산시 미세먼지 최대현안인 항만관련 정책의 시행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과학적 기반을 선제적으로 마련했다.

 

  *  선박분야는 부산시 초미세먼지 배출량의 43% 차지(환경부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2023)

  ** 부산시 항만측정소(부산신항, 부산북항), 2022년 8월부터 국가측정망으로 이관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산시는 국제해사기구(IMO)의 규약에 발맞춰 2020년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한 선박연료유 황(S) 함유량 기준 강화(3.5%→0.5~0.1% 이하)로 3년간 항만지역의 아황산가스(SO2) 농도가 65% 감소했다. 이밖에 내륙지역에서도 선박배출*** 영향으로 발생한 초미세먼지(PM-2.5) 및 유해금속성분(V, Ni 등)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등, 항만지역의 배출량 관리가 부산시 대기질 개선과 시민 건강피해 예방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 초미세먼지 성분자료를 활용한 수용모델링(미국 EPA가 배포한 양행렬인자 프로그램) 결과

 

  연구원 관계자는 “지속적인 대기질 조사뿐만 아니라, 대기질 개선정책 시행 효과를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배출량 관리 대상 우선순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부산시가 실효성 있는 대기질관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