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보도자료

- 조선기자재산업의 신(新) 패러다임 변화 대응 및 수주 확대를 위한 -

부산시, 「친환경․스마트선박 기자재 전기전자화 기술세미나」 개최
부서명
제조혁신과
전화번호
051-888-4652
작성자
이영재
작성일
2023-04-17
조회수
422
공공누리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부제목
◈ 4.17. 14:00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산·학·연 조선기자재 산업 관계자 200여 명 참석 ◈ 친환경스마트선박의 산업 동향 및 정부정책 방향 공유 등 조선기자재 산업의 미래 대응 논의
내용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오늘(17일) 오후 2시, 부산항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조선기자재산업의 신(新) 패러다임 변화 대응 및 선박 수주 확대를 위한 「친환경․스마트선박 기자재 전기전자화 기술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부산시와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이 공동 개최하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부경대학교 김동현 교수가 ‘친환경․스마트 선박 정부 정책 방향’ ▲해양대학교 김종수 교수가 ‘친환경 선박 추진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및 사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박정홍 박사가 ‘자율운항 선박 핵심기자재 기술개발 동향 및 사례’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김종우 센터장이 ‘친환경․스마트 선박 핵심기자재 상용화를 위한 신뢰성 방향’을 주제 발표한다.

 

  한편,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글로벌 자율운항선박 시장 규모는 오는 2025년 1,550억 달러(약 200조 원)에서 2030년 2,541억 달러(약 330조 원)까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많은 첨단 기자재가 개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들 기자재는 선박의 친환경화와 스마트화로 인해 기존 기계 베이스 기자재에서 고도의 5세대 이동통신기술(5G), 정보통신기술(ICT), 고출력 고전압 전력기술, 정밀 센서기술, 디지털기술, 시스템 통합기술 등이 접목된 전기전자 기재자로 개발되고 있어 조선해양기자재 산업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는 평가다. 

 

 친환경·스마트 선박의 핵심 기자재인 전기전자 기자재는 현재 유럽 및 미국이 주도하고 있어, 국내 산업 대응 미비 시 핵심 기자재 시장이 모두 해외 기업에 장악될 우려가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지난해 신(新)성장 4.0 전략을 수립하여, 친환경·자율운항 선박기술 선점을 통한 미래 선박 시장 주도권 확보 및 고부가선박 점유율 75% 달성을 목표로 연구개발과 시험인증 기반사업을 마련 중이다. 

 

  이번 세미나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조선기자재산업의 63%가 집중된 부산에서 기자재 산업의 미래 대응을 위해 주제를 발표하고 논의해 보는 뜻깊은 자리로 마련되었으며, 산·학·연 관계자 등 2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부산시 이경덕 미래산업국장은 “조선해양기자재 산업에 있어 친환경․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은 최우선 혁신 과제이다”라며, “이번 세미나가 조선기자재 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부산시가 ‘그린스마트 도시’를 비전으로 삼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부산이 첨단 조선기자재 산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하는 데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