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 「부산 대표 창업기업 지원사업」 4개 클럽, 67개 사 통합 모집 -
부산시, 부산을 대표하는 스타트업 지원·육성에 나선다!
- 부서명
- 창업벤처담당관
- 전화번호
- 051-888-4398
- 작성자
- 권소현
- 작성일
- 2023-04-12
- 조회수
- 598
- 공공누리
-
이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부제목
- ◈ 지역 기술기반 스타트업의 단계별 성장지원을 위한 전주기적 통합 지원 프로그램 운영… 성장단계별 ▲브라이트클럽 ▲밀리언클럽 ▲플래티넘클럽 ▲에이스스텔라 순 ◈ 4월 24일(월) 18시까지 부산창업포털 통해 참가 희망 창업기업 67개 사 통합 모집
- 첨부파일
-
- 보도자료(부산시, 부산을 대표하는 스타트업 지원·육성에 나선다!).hwp (파일크기: 910 KB, 다운로드 : 69회) 미리보기
- 내용
-
부산광역시(시장 박형준)가 3개 창업 지원기관(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부산경제진흥원, 부산테크노파크)과 함께 ‘2023년도 부산대표 창업기업 지원사업’ 4개 클럽(브라이트클럽, 밀리언클럽, 플래티넘클럽, 에이스스텔라)의 창업기업을 통합 모집한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혁신 기술을 보유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부산 창업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하여, 매년 부산의 창업 지원기관인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부산경제진흥원, 부산테크노파크 등 3개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4개 클럽을 구성하여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성장 단계별로 ▲‘브라이트클럽’(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밀리언클럽’(부산경제진흥원), ▲‘플래티넘클럽’(부산테크노파크), ▲‘에이스스텔라’(부산테크노파크)로 나누어 클럽별 사업화 자금 지원과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브라이트클럽’에 혁신적인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지닌 태동기의 스타트업 20개 사를 선정하여, 기업당 최대 1,000만 원의 맞춤형 사업화 자금을 지원한다.
부산경제진흥원은 ‘밀리언클럽’에 연 매출 5억 원 이상 스타트업 40개 사를 인증하고 별도 심사를 통해 20개 사를 선정하여, 최대 300만 원의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며, 인증 2년 차에는 우수 스타트업 3개 사를 대상으로 최대 2,000만 원의 사업고도화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부산테크노파크는 ‘플래티넘클럽’에 1억 원 이상의 투자 유치를 받은 성장기의 스타트업 4개 사를 선발하여, 기업당 최대 1,000만 원의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고, 지속적인 투자 유치를 위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5억 원 이상의 씨드(SEED) 투자 유치를 받아 사업성을 검증받은 스타트업은 해당 사업의 마지막 단계인 ‘에이스 스텔라’에 참여 신청이 가능하다. 부산테크노파크는 3개 사를 선정하여 최대 1억 원 이상의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고, 향후 아기유니콘·예비유니콘 단계로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유망 스타트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4개 클럽에 참여하는 스타트업에는 ‘부산 대표 창업기업’ 인증서와 현판이 제공된다. 인증기업은 멤버십 프로그램을 통해 금융·창업공간 이용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멤버십 프로그램 혜택 외에도 올해에는 각 클럽을 운영 중인 기관별 시설 공간과 창업 프로그램과의 연계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부산 대표 창업기업 지원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창업기업은 오는 4월 24일 18시까지 온라인 창업 통합플랫폼 ‘부산창업포털’(https://www.busanstartup.kr/)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클럽 간 중복지원 불가), 기관별 서류 및 발표평가를 거쳐 클럽별 인증기업을 선발할 예정이다.
한편, 시는 ‘부산 대표 창업기업 지원사업’을 통해 2017년부터 기술 경쟁력 및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부산 지역의 창업기업을 발굴하여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고, 수요자 중심의 교육·멘토링,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등 총 696개 창업기업에 대하여 지원해왔다.
손성은 부산시 금융창업정책관은 “부산의 3개 창업지원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반시설(인프라)과 단계별 성장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부산 지역의 유망 스타트업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더 나아가 부산 지역 스타트업의 발전과 창업 생태계 활성화가 전국적인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