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성과관리(BSC) 세계 최고,, “2008 세계 성과관리(BSC) 명예의 전당” 수상
부서명
정책기획담당관실
전화번호
888-2188
작성자
안재홍
작성일
2008-09-23
조회수
983
공공누리
부제목
◈ 세계 BSC 협회(BSCol) 및 Palladium Group이 주관한 성과관리부문 “2008 세계 BSC(성과관리)명예의 전당”수상,,,◈ BSC를 도입·운영해 탁월한 성과와 업적을 거둔 세계 민간 및 공공기관을 선발해 시상하는 BSC 세계 최고 권위의 상으로 오늘(9. 23) 17:00 서울 웨스틴 조선 호텔 그랜드볼륨에서 창시자인 로버트 캐플란 하버드대 교수 참석한 가운데 시상식,
내용
부산시가 2005년 9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BSC(성과관리)를 도입, 선도적으로 운영한 결과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세계 BSC 협회 및 Palladium Group(미국)”에서 주관하는 성과관리(BSC) 부문 세계 최고 권위의 상인“2008 세계 BSC(성과관리) 명예의 전당”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2008 세계 BSC(성과관리) 명예의 전당”은 BSC(성과관리) 창시자인 하버드 캐플란 교수를 비롯해 컨설턴트인 노튼 박사가 설립한 세계 BSC 협회(BSCol, 미국)와 세계적인 컨설팅 업체인 Palladium Group(미국)이 공동 주관하여 매년 BSC(성과관리) 최고의 품질과 획기적인 조직의 성과를 달성한 민간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결정한다.
2000년도에 제정된 이 상의 역대수상 기관을 보면 국외 민간·공공기관으로는 Canon, BMW, Mobil, 미국 상무성 등이며, 국내는 KT(2003), E-Land(2004), KOTRA(2005), LG(2006), 행정안전부(2007) 등 5개 기관이 수상했고 지방자치단체가 출품해 수상하기는 부산시가 처음이다.
부산시 BSC(성과관리)는 고객만족도 향상과 부산경제 중흥 10대 비전 관리, 전략중심 조직 운영, 효율적인 예산 운용, 직원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5급 팀장급 이상 부서장을 대상으로 연초에 성과목표 및 지표를 설정, 성과계약을 체결해 목표 달성에 매진하도록 하고 연말에 목표 달성정도에 따라 성과연봉 및 인사에 반영하는 조직 및 인사관리시스템이다.
부산시가 BSC를 도입한 배경은 △시민들의 공직사회에 대한 변화 요구 △행정서비스에 대한 시민들의 만족 수준 미 측정, △부산시의 비전과 전략, 성과를 관리할 수 있는 툴 부재 △성과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와 보상체계 미흡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혁하기 위해“고객과 성과중심 행정변화”를 선언하고 2005년 BSC(성과관리)를 전격 도입해 2006년 전국 지방자치 단체 최초로 BSC 전략 및 성과지표 개발, IT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본격 운영하게 되었다.
부산시 BSC 구축과정을 구체적으로 보면 2005년 9월부터 BSC(성과관리) 도입계획 수립, 성과관리(BSC) 전략 및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태스크포스을 구성해 조직 환경분석 및 조직진단과 외부 전문가에 의한 자문 등을 통해 BSC 툴에 의한 비전, 전략목표, 성과목표, 성과지표를 개발했고 그동안 35회에 걸친 워크숍과 20여 차례의 교육, 세미나, 포럼, 성과관리 연구회, 학습동아리 운영 등으로 성과관리 전략과 성과지표 품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부산시는 BSC의 체계적인 관리와 발전을 위해 ① 행정조직은 사업 중심에서 전략중심 조직으로 바꾼다. ② 조직의 성과는 도시 발전 및 시민의 삶의 지표로 측정한다. ③ 업무의 성과는 온라인시스템으로 모니터링 한다. ④ 조직의 성과는 시민으로부터 평가 받는다. ⑤ 연공서열식 보상 파괴, 업무성과에 따라 보상한다. 등 5대 전략사업을 개발해 BSC(성과관리) 수준 및 품질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다해왔다.
이러한 부산시의 노력으로 2007년과 2008년 2년 연속 한국 서비스품질지수 공공부문 1위, 2006년, 2007년 2년 연속 대한민국 고객만족 경영대상 수상, 2006, 2007년 2년 연속 국정시책 종합평가 최우수 기관 선정 등으로 40여억 원의 포상금을 지급받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특히, 부산시의 BSC는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어 감사원, 농협중앙회, 인천광역시청, 경기도 등 49개 기관에서 벤치마킹하는 등 전국 민간기업 및 공공기관에서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지난 6월에 “대한민국 BSC(성과관리)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또한, BSC 도입을 희망하는 5개 자치구·군(영도구, 동래구, 남구, 해운대구, 기장군)을 대상으로 BSC(성과관리)시스템 구축에 착수해 연말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으로, 지역 타자치구·군에 보급·확산할 계획이다.
한편 시상식은 오늘(9. 23) 오후 5시 서울 웨스틴 조선 호텔 그랜드 볼륨에서 열리고 허남식 시장이 직접 이상을 받게 된다.
『BSC 명예의 전당(Hall of Fame)』개요
< BSC Hall of Fame > ∘BSC 창시자인 하버드대 교수 Robert Kaplan과 David Norton이 설립한 기관인 BSCol(Balanced Scorecard Collaborative)에서
∘매년 BSC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민간·공공기관을 선발하여 수상하는 BSC 최고 권위의 상
□ 개 요
○ 시상분야 : 아시아·태평양, 유럽, 남미, 북미의 지역별 6개 분야
○ 심사기준 : BSC 운영방법, 전략중심형 조직으로 변화 성과, 조직성과 향상 실적, 언론 홍보 등
○ 선정 절차
- 지역별(유럽, 남미, 북미, 아·태) 명예의 전당은 각 지역별 민간·공공기관 중 수상기관 선정 ※ 지역 : 신청서 접수(7.24), 서면심사(7~8월), 시상식(9.23, 한국)
□ 역대 수상기관
○ 2000년부터 Canon, BMW, Mobil, U.S. ARMY 등 기관 수상
※ 공공기관(총 8개) : U.S. ARMY, EDA(미 상무성 경제개발관리국), 미 국립정찰대,
텍사스주 회계감사실, 영국 국방부, 캐나다 기마경찰단, 노르웨이 공군, 스페인 항만청
○ 우리나라는 KT(‘03), E-Land(’04), KOTRA(‘05), LG 필립스 LCD(’06), 행정안전부(‘07) 수상
* 2008년 수상기관
○ Busa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Korea)
○ Ministry of Manpower Singapore (Singapore)
○ Rainbow Department Store Company (China)
○ International Islamic University of Malaysia (Malaysia)
○ North Delhi Power Ltd (India)
○ Lakshmi Machine Works Ltd (In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