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이전 보도자료(~'19.03.26)

 

한국영상자료원 ‘부산분원’ 개원

부서명
영화영상진흥팀
전화번호
888-8102
작성자
박종일
작성일
2008-01-07
조회수
1446
공공누리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부제목
- 1.8(화)개원식과 함께 한국영화 걸작 30편 상영, 시네마테크 부산 위탁운영, 한국영화 자료 제공 및 상영
내용
부산에 한국영상자료원 분원이 들어선다. 내일(1.8)개원식을 갖는 부산분원은 부천, 강원에 이어 세 번째로 그동안 다채롭고 전문적인 상영 및 자료실 운영 등으로 부산 영화문화를 선도하고 있는 시네마테크 부산(원장 허문영, 해운대 요트경기장 내)에 설치된다. 한국영상자료원과 시네마테크 부산 간의 분원설치 협약에 의해 한국영상자료원은 다양한 한국영화 자료를 제공하며, 시네마테크 부산은 그동안의 자료실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부산분원을 위탁 운영하게 된다. 이번 분원 설치는 부산국제영화제 등과 함께 아시아 영화의 중심으로 자리잡은 부산에 불행하게도 접할 기회가 거의 없었던 우리 영화(한국영화)를 폭넓게 소개하는 데 의미가 있다. 한국영상자료원 본원에서만 제공하는 고화질 VOD 서비스를 통해 1,000여 편의 한국영화 중 원하는 영화를 언제나 관람할 수 있으며, 다른 분원과 마찬가지로 시나리오 1만여 편의 원문을 디지털 열람할 수 있다. 부산분원이 여타 분원과 차별되는 점은 단순한 자료 열람차원을 넘어 시네마테크 부산의 고유 기능 중 하나인 상영과 접합한다는 것이다. 한국영상자료원은 ''찾아가는 영화관''을 통해 꾸준히 벌여온 지역 상영을 상설상영관을 지닌 부산분원을 통해 정기화하게 된다. 한국영상자료원이 주최하는 다양한 한국영화 프로그램이 부산분원에서 상영되어 한국영화에 목말라 있는 지역관객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2008년 상반기 경 본격적인 시네마테크 활동을 하게 되는 한국영상자료원은 시네마테크 부산의 해외 고전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시네마테크 부산은 매년 10회 이상의 기획프로그램을 통해 해외 거장감독 등의 작품을 소개해 왔으며, 수준 높은 프로그래밍에도 불구하고 지역적 거리감으로 인해 아쉬워했던 서울 및 수도권 관객이 많았다. 프로그램 교류를 통해 서울에서도 시네마테크 부산의 수준 높은 해외작품 기획전을 소개함으로써 이런 아쉬움을 달랠 수 있게 되었다. 2008년 1월 8일 저녁 5시 한국영상자료원 부산분원 개원 기념식에는 허남식 시장을 비롯해 김동호 부산국제영화제집행위원장, 조선희 한국영상자료원장, 허문영 시네마테크 부산원장 등이 참석하여 부산분원 시대의 개막을 축하할 예정이다. 이어 6시부터 개원을 기념하여 한국영상자료원이 개최하는 "반도의 꿈-한국영상자료원 부산분원 개원 기념 한국영화사 걸작선"의 개막작 <반도의 봄>(1941)이 상영된다. 이번 특별전은 1월 24일까지 계속되며 한국영화사의 걸작 30편을 소개한다. 관람료는 일반 2,000원/ 회원.경로 1,000원이다. 부산분원 개요 □ 정식명칭 : 한국영상자료원 부산분원 □ 설치위치 : 시네마테크 부산(해운대 요트경기장 내) □ 설치주체 : 한국영상자료원운영주체 : 시네마테크 부산 □ 주요활동 : 한국고전영화 자료 열람(VOD 1천편, 시나리오 1만편) 한국영화 상영프로그램 개최 □ 한국영상자료원 부산분원 자료실 서비스 안내 ※ 부산분원 자료실은 기존 시네마테크 부산 자료실 내 설치 ▶ 멀티미디어 서비스 - 한국고전영화 VOD 약 1,000편 감상 - 시나리오 원문 약 1만여건 디지털 열람 ▶ 이용환경 - VOD 전용 관람석 4석 - 시나리오 검색 키오스크 2대 ▶ 영화자료 - 한국고전영화 희귀본 VHS 100편 감상 (2008년 중 순차 입고) □ 시네마테크 부산 자료실 서비스 안내(기존) ▶ 영화감상(DVD/VHS, 3600여편 이상) - 부산국제영화제 역대 상영작(VHS) 2,000여편 감상 (현재 VHS를 DVD로 변환하여, 자막을 넣는 작업 진행중) - 국내 출시된 영화(DVD/VHS) 영화 1500여편 감상 - 자체 기획전 상영작(DVD 해외원판) 영화 100여편 감상 ▶ 이용환경 : 2인 감상석 6석 ▶ 문헌 자료(도서/논문/정기간행물, 3000여권 이상) - 국/내외 영화관련 정기간행물 16종 - 영화관련 논문 500 여종 - 영화관련 도서2,500 여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