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 도시 비전인 “자연과 인간이 함께하는 생태도시” 조성위해 지속 가능한 환경보전 기반 조성 등 6개 정책과제 선정해 올해 추진키로...
내용
부산시는 도시 비전인“자연과 인간이 함께하는 생태도시”조성을 위해 지속 가능한 환경보전 기반조성, 자연과 조화된 도시환경 조성, 생태교육 및 탐조관광 벨트 조성, 안정된 수질관리, 깨끗한 대기환경 조성, 자연 순환형 폐기물관리 등 6개의 정책과제를 선정해 올 한 해 동안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먼저, 지속가능한 환경보전 기반조성을 위해
△ 시민·기업·행정이 함께하는 환경 실천운동을 펼치는 등 “녹색도시 부산21” 활성화 △ 배출업체 홈닥터제 운영, 기업 환경기술 지원 확대 등 지역기업 환경기술 지원 강화 △ 국제 환경에너지 산업전과 재생에너지 학술대회 및 전시회 개최 등을 통하여 환경 행정 선진화를 도모한다.
자연과 조화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 자연훼손 최소화를 위한 지역 환경영향 평가제 시행 △ 도심 비오톱(Biotop) 조성 △ 하수관거 보급률 확대를 통한 하천수질 개선 △ 기장군 일원에 대한 동부산권 도시 생태 현황도를 작성하고
생태교육 및 탐조관광 벨트 조성을 위해서는
△ 야생동물 치료센터 건립 △ 철새탐조대 설치 △ 을숙도 생태 탐방로 조성 야생동물 치료센터 건립 △ 하구 탐방체험장을 설치하고 △ 낙동강하구에코센터를 생태·탐조관광의 국제적 명소가 될 수 있도록 운영할 계획이다.
안정된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 낙동강 오염총량제 시행, 수질 오염사고 예방 등 낙동강 수질 개성을 적극 추진 △ 약수터 및 간이 급수시설 등에 대한 수질검사 강화 △ 주유소 등 특정토양 오염 관리대상시설, 광산 등에 대한 중금속 유출 여부 조사 등 토양 오염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 나간다.
깨끗한 대기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 기후변화협약에 상응하는 온실가스 저감 대책 마련 △ 천연가스 자동차 보급 확대 등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을 통한 선진국 수준의 쾌적한 도시 공기질 확보 △ 운행차 배출가스 및 미세먼지 발생사업장 관리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자원 순환형 폐기물 관리를 위해서는
△ 음식물류 폐기물 등 쓰레기 감량 및 폐기물 관리 내실화와 재활용 촉진 △ 친환경적·안정적 폐기물 처리시설 운영 △ 매립가스 청정개발체제(CDM) 추진과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건설 등 폐기물을 이용한 에너지 회수시설 설치·운영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그 밖에도 주요 간선도로 진공 흡입·물청소 실시 등 시민이 체감하는 도시청결 시책을 지속 추진해 깨끗한 도시 가꾸기를 지속해 나가고, 하수처리장 고도처리시설 추진 등 하수처리시설 확충 및 개선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