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이전 보도자료(~'19.03.26)

 

- 해양쓰레기 문제 등 해양환경 교류 협력기반 - 한일 해협 연안 시․도․현 해양환경교류회 개최

부서명
해양수도정책과
전화번호
051-888-5261
작성자
하승희
작성일
2018-09-17
조회수
644
공공누리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부제목
◈ 9.18.~9.19. 해운대 센텀호텔, 한․일 해협 연안 8개 시․도․현 해양환경교류회 개최 ◈ 해양쓰레기 등 해양환경 분야 한․일 지방정부 간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 등
첨부파일
내용

 

  부산시(시장 오거돈)는 9월 18일부터 19일 해운대 센텀호텔에서 ‘한일 해협  연안 시·도·현 해양환경교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미세플라스틱을 비롯한 해양쓰레기 문제가 국제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 간의 협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어, 한일 해협을 사이에 두고 있는 8개 지방정부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해양환경 문제에 공동대응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행사에 한국 측에서는 부산·경남·전남·제주도가, 일본 측에서는 후쿠오카·사가·나가사키·야마구치현 8개 시·도·현이 참가하며, 그 외에도 UN 산하에 해양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북서태평양보전실천계획(Northwest Pacific Action Plan) 관계자가 참가한다. 

 

  교류회 기간 중 ▲해양환경 실무회의(9.18. 15:00, 센텀호텔) ▲연안오염 특별관리해역 시찰(9.19. 09:30, 수영만요트경기장) 등의 행사가 진행된다. 

 

  해양환경 실무회의 주제발표는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홍선욱 대표의 ‘부산연안 해양쓰레기 통합관리 방안’ ▲UN 북서태평양보전실천계획(NOWPAP)의 프로그램 담당관인 닝리우 박사의 ‘북서태평양 지역의 해양쓰레기’ ▲일본 야마구치현의 ‘일본 해양쓰레기 대책’의 순서이다.

 

  참고로 한·일 해협 연안 8개 시·도·현 지사회의는 1992년 제1회 한·일 해협 지사회의 공동성명문에 따라 매년 개최되어 26회까지 진행되었으며, 제27회 회의가 올해 부산시에서 11월에 개최 예정이다.

 

  특히 한·일해협 지사회의 공동교류사업 중 하나인 『해양쓰레기 일제청소사업』을 올해 ‘한·일해협연안 해양환경교류회’로 확대․개최함에 따라 한일 양국 간의 실질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인적·기술적 교류를 추진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앞으로 한일 양국 지방정부 간 해양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내실 있는 교류와 협력을 통해 체계적 해양쓰레기 관리계획 노하우를 공유하고 시민인식을 증진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