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요지 ❍ 전담인력을 갖춘 FTA콜센터의 경우 홍보 미흡으로 이용실적이 거의 없고, FTA활용지원센 터 홈페이지도 내용 부실 ❍ 부산FTA활용지원센터의 경우 부산상공회의소, 부산경제진흥원, 한국무역협회 부산지역본 부 등으로 업무가 나눠져 있어 전문성이 떨어지고 신속한 대처 미흡 □ 해명내용 ① ‘FTA콜센터 홍보미흡으로 이용실적이 거의 없어‘라는 내용에 대해 - FTA콜센터(1577-6480)는 지역 중소기업의 FTA활용 지원을 위해 지난 1월 기획재정부가 지정한 전국 8개 지역 FTA활용지원센터 중 부산만이 운영하는 특화사업으로, 지난 3월 중 순 시스템 구축 후 2주간의 시스템 점검 및 상담직원(4명) 교육을 거쳐 4월초 운영 시작 ※ FTA콜센터는 부산경제진흥원의 기업애로해소 콜센터 시스템 및 상담원 활용 - 지역기업의 FTA에 대한 관심 부족(부산 FTA활용율 19.7%, ‘10.9월 부산시 조사)으로 인 해 현재까지 FTA활용에 관한 문의는 적으나, 콜센터의 업무는 단순한 상담접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안내·홍보도 겸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콜센터를 통한 사업안내·홍보 가 650여건에 이르며, 현재도 사업안내·홍보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음. ② ‘FTA활용지원센터 홈페이지 내용 부실’이라는 내용에 대해 - 전국 8개 지역 FTA활용지원센터 홈페이지는 센터별 홈페이지 중복 개발로 인한 예산 낭비 를 방지하고, 기획재정부에서 제작·운영하고 있는 ‘FTA종합지원포털(ftahub.go.kr)’의 다양 한 콘텐츠(FTA 소개, 온라인 교육, 지원사업 등)의 공동 활용 및 정보창구 단일화 등을 위 해 지난 1월 기획재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FTA종합지원포털 내 구축하기로 하였으며, 지난 4 월 중순 假오픈 - 하지만 FTA종합지원포털 내 구축됨에 따라 지역 센터에 홈페이지 운영·접근 권한이 부여되 지 않아 자료 게시·수정 및 홈페이지 내용변경 등이 원활하지 않은 점이 있어 현재 시범 운 영 중이며,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현재 기획재정부와 관련사항을 협의 중에 있음. ③ ‘센터 업무를 3개 기관이 나눠 운영함에 따라 전문성이 떨어지고 신속한 대처가 미흡하다’라는 내용에 대해 - 부산FTA활용지원센터는 지역 FTA 유관기관별 특화된 업무와 노하우를 적극 활용하여 전문 성을 강화하고, 사업추진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 부산상공회의소, 부산경제진흥원, 한 국무역협회 부산본부 등 3개 기관을 참여기관으로 선정하여 운영 중에 있음. - 아울러, 부산FTA활용지원센터는 지난 4월 FTA설명회, FTA실무교육, FTA컨설팅 첫 사업 을 시작하였으며, 부산FTA활용지원협의회 참여하고 있는 12개 기관과 공동으로 금년 7 월 한-EU FTA 발효 전까지 FTA에 대한 지역기업의 관심·인식 제고와 활용지원을 위해 최 선을 다해 나갈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