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요지 ❍ 낙동강 관련예산 생태보전 외면, 관리예산 국고보조금이 없어 사후관리비용 시민에게 전가 - 국고보조금 3억 9천만원(야생동물 치료센터 운영, 새섬매자기 복원) 불과 ❍ 시설관리 분야 위주로 관리인력 배치,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생태계복원 등에 인력관리 예산 반영 필요 - 계절꽃 구입 등 인공초화 식재예산, 제초제 구입 수질오염 예산 삭감 필요 ❍ 낙동강 둔치관리예산 보존보다는 집객 우선으로 편성, 시민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 긴급토론회 개최 - 화명야외수영장 물놀이장 39억원, 접근시설 39억원 편성, 생태공원 취지에 부적합 □ 설명내용 ① 낙동강 관련예산 생태보전 외면, 관리예산 국고보조금이 없어 사후관리비용 시민에게 전가 관련 ❍ 우리시에서는 전국 최초로 국가하천 관리비용 국가 부담건의 하여 2012년도 부산권 낙동강 둔치관리비 54억원을 국토해양부에 지원건의 하여 현재 심사 중에 있음 ❍ 하천법 개정 등 관련절차가 마무리 되면 둔치관리 국비지원 규모가 결정 될 것으로, 시민부담이 최소화 되도록 국비확보에 최선을 다하겠음 ② 시설관리 분야 위주로 관리인력 배치,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생태계복원 등에 인력관리 예산 반영 필요 관련 ❍ 부산권 낙동강 둔치 정비는 2006년부터 삼락, 맥도지구, 2010년 화명지구 정비를 완료하였으며, 이미 체육시설을 포함한 화장실, 녹지 등 시민 편의시설을 조성하였음 ❍ 2012년도 예산안에 있는 시설관리 인력은 기 설치된 체육시설을 비롯한 화장실 등 편의시설, 수목관리 등 녹지지설 관리, 하천쓰레기 수거 등에 필요한 인력으로 2011. 5월 둔치관리 업무가 자치구에서 우리시로 이관됨에 따라 관리에 필요한 예산을 편성한 것으로 2011년 이전 자치구 관리 때에도 자치구별로 관리 인력을 채용하여 관리하였음. ▷ 2010년도 자치구 둔치관리 인력 : 390여명(화명98, 삼락284, 맥도9) ❍ 또한 낙동강살리기 사업 마무리에 따라 둔치관리 규모가 대폭 증대됨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인력 필요함 ❖ 관리규모 : 3.2배 증가 ❖ 공원3⇒5개, 면적3.66㎢→11.67㎢ ❖ 관리시설 : 체육시설 41종 146면, 편의시설 124종 2,144개소, 수목 62만주 등 ❍ 아울러 을숙도 하단부 생태보전지역 생태계 복원사업과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도 지속 추진하고 있으며, 철새들의 서식환경 조성에도 지속적으로 예산을 투자하고 있음 ③ 낙동강 둔치관리예산은 보존보다는 집객 우선으로 편성, 시민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 긴급토론회 개최 요청관련 ❍ 부산권 낙동강 본류 둔치 전체면적은 5개지구 14.85㎢로 서울 한강의 9.1㎢ 대비 1.63배 5.75㎢가 넓은 규모임. ❖ 을숙도3.52(하단2.73, 상단0.79), 맥도2.55, 삼락4.72, 대저2.66, 화명1.40 ❍ 우리시에서는 서울한강의 1.6배에 달하는 낙동강 둔치의 효율적인 관리, 활용을 위하여 을숙도 하단부 2.72㎢를 생태보전지역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을숙도 상단부를 비롯한 5개 둔치에 특성화된 생태환경조성을 조성하고, 더불어 서울한강과 같이 다양한 수변 레저시설을 확충하여 서부산권 시민들의 수변 휴식 레저공간으로 조성하고자 추진하고 있으며, 고용증대 등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됨. ❖ 을숙도 하단부(철새공원) : 3개지구 2.72㎢(교육, 환충, 핵심보전) 보전, 관리 ❖ 낙동강생태경관조성 마스터플랜 수립(2011.7월) : 5개지구 69개사업 ❍ 또한 화명지구 접근시설, 야외수영장 물놀이 시설은 2010년 10월 생태공원을 조성하여 시민 개방 하였으나, 철도 횡단 등으로 시민들의 이용에 불편이 있어 화명 생태공원 이용 편의와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사업으로 낙동강살리기 사업과 연계 추진함으로서 사업의 효율성을 도모하려는 것임 ❍ 아울러 시민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 등 제안에 대하여는 부산권 낙동강 둔치관리협의회 구성 시 적극 검토할 계획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