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해명ㆍ설명자료

 

(설명자료) 행복마을 만들기 사업 졸속 추진 관련

공공누리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자료는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051-888-8481
첨부파일
내용
□ 보도요지
○ 정치적 예산 나눠먹기·주민참여 보다 관이 주도
○ 행복마을만들기 사업 졸속 추진
□ 설명내용
○ 2011 행복마을만들기사업 공모와 달리 대상지가 늘어 지원 예산이 줄었다는데 대하여(7개
마을→11개 마을)
⇒ 평가단의 평가(서면평가,현장평가,발표평가) 결과, 위원 7명중 외부 위원 5명의 공통 의견
으로 행복마을 만들기 사업을 유형별로 나누고 사업목적을 살려 가능한 대상지를 추가 선
정 하자는 의견에 따라 선정되었음
· 공간재생과 공동체 재생의 혼합형(8억원)
· 선 공간재생, 후 공동체 재생(6억원)
· 선 공동체재생, 후 공간재생(2억원)
○ 주민이 주도해야 할 마을만들기가 관주도형 ‘환경개선사업’으로 전락
⇒ 행복마을만들기는 주민주도가 관건이므로 마을내 추진협의회가 주도하도록 하고 있음
· 추진위원회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전문 컨설팅 업체를 지원하여 활동을 도우고 있으며,
· 마을리더 및 활동가 교육 프로그램도 시행할 예정(현재 용역발주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