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의 알칼리성의 강약을 나타내는 한 지표. 수중의 알칼리를 적당한 지식약을 사용하여 강산 표준액으로 적정, 알칼리분을 epm(백만분의 1당량) 또는 이에 대응하는 탄산 칼슘의 ppm으로 나타낸다. 메틸오렌지를 지시약으로 쓸 경우에는 메틸오렌지 알칼리도(M 알칼리도), 페놀프탈렌인을 지시약으로 한 경우에는 페놀프탈레인 알칼리도(P 알칼리도)라고 한다.
비교적 다량의 가용성 알칼리 및 알칼리성 토양의 염화물, 황산염, 탄산염 등을 포함하여 다소 알칼리성 반응을 띠는 토양을 총칭하는 것.
Ca, Fe, Mg, K 등은 물에 녹아 Ca(OH)2, Mg(OH)2, Fe(OH)2 등의 알칼리성 수산화물이 된다.
이들 원소를 많이 함유하는 과실, 채소, 해조류 등을 알칼리성 식품이라 한다.
상수도의 정수에 이용하는 약품 침전에 있어서 원수 속의 알칼리 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수산화 칼슘(소석회), 무수탄산 나트륨(소다회), 수산화 나트륨(가성소다)등이 있다.
에틸 알코올이 온도 변화에 의해서 팽창 수축하는 성질을 이용한 온도계. 알코올의 비점은 78℃, 응고점은 -117℃이므로 수은 온도계보다도 저온을 재는데 편리한 오차를 수반하므로 정밀 측정에는 저항 온도계 등을 사용한다.
다염기산과 다가 알코올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합성 수지. 건성유 또는 반건성유 등으로 변성한 것은 주로 도료에 쓰인다. 특히 무수 푸탈산과 글리세린으로 만들어진 것은 푸탈산 수지라 한다. 불포화 콜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여 알키드 수지라 하기도 한다.
다염기산과 다가 알코올과의 축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
관을 사용하지 않고 덮개의 벽쪽에 하나로 대롱 형의 라아멘구조(부재간이 강결된 골조구조물)로 만들 경우와 블록을 쌓는 경우가 있다. 수면의 경사관계나 개거는 수질오염에 대한 우려가 있거나 보안상의 이유 등으로 이용된다.
용수나 배수용의 수로가 도로, 철도, 제방 등의 아래에 매설되었을 때를 암거라 한다. 도관(陶管)이나 철근 콘크리트관의 관거(管渠)와 박스 암거나 아치 암거와 같은 석조나 철근 콘크리트가 있다. 박스 암거는 단면이 직4각형의 것이고, 아치 암거는 상부에 아치를 사용한 것이다. 또한 하구의 매설(埋設)이 일어나는 소하천에서는 하구주(河口洲)속에 해안선까지 관거를 매설하여 하수는 이것을 통해 바다로 빠지는데, 이것을 하구의 암거라 한다. covere
지하에 매몰한 인공 수로. 수로가 제방, 도로, 철도의 축제(築堤) 등을 가로지를 때 설치하는 것, 지하에 부설하는 하수로, 지반 개량을 위해 또는 터파기 내의 배수로로서 설치되는 것 등이 있다. 토관, 철근 콘크리트 등이 쓰이며, 공사장에서는 대나무 다발을 묻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