셸 구조, 막구조, 케이블 네트 구조 등에서 곡면의 외주부에 생기는 응력(특히 수평력)을 처리하기 위한 지지 구조.
양수표에 대하여 정해진 수위. 그 양수표의 대상 구역 내의 수방 요원 등이 제방에 출동하는 등 경계를 필요로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위.
혼합 경계값 문제를 경계적분 방정식에 의해 정식화하고, 이산화를 도입한 수치 해법. 무한 경계를 다루기 쉽고 지반의 동적 해석 등에 쓰인다.
토지의 교환, 분합(分合)에 의해 정형한 대지 경계를 확보하는 토지 정리 수법을 말한다. Grenzregelung
물체의 내부 응력과 외력은 그 물체의 경계면에서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는 조건. 부정정 구조물을 해석하는 경우 미지 반력(부정정력)을 하중으로 보고, 정정 구조물로 치환하여(정정 기본계로 고친다) 고정 지지점의 휨각을 0으로 하는 조건을 경계 조건이라 한다. (휨각법의 경우).
고체 역학의 목적은 주어진 조건 하에서 고체가 어떻게 거동하는가를 아는 데 있으며, 기초식, 구성식, 경계조건 등에 의해 표현되는 지배 방정식을 풀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말한다.
(1) 경지의 둘레에 경지간의 경계로서 구획의 형상을 보여주며, 논에서는 담수를 보유하는 통로로 된다. 임시 경계둑(경지의 흙으로 만든다), 콘크리트 경계둑 등이 있다. (2) 물체의 가장자리 또는 한 구획의 중앙에서 멀리 떨어진 곳.
중위도 해역에서는 편서풍에 의한 해양순환이 있어서 적도를 경계로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 남반구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흐르면서 대칭적인 양 대류를 이루고 있다. 이 순환들의 중심은 태평양이나 대서양 모두 서쪽에 위치하는데, 북반구의 경우 순환의 오른쪽에서는 10cm/s미만의 극히 완만한 해류가 남쪽으로 흐르고, 순환의 왼쪽인 대양의 서쪽에서는 100km정도의 좁은 폭을 가진 1㎧정도의 빠른 해류가 북쪽으로 흐른다.
여기에서 대양의 서해안 가까이에서 북으로 흐르는 흐름을 서안경계류라 하며 쿠루시오해류와 멕시코만류가 대표적이고, 대양의 동해안 가까이에서 남으로 흐르는 흐름을 동안경계류라 하며 캘리포니아해류와 카나리해류가 대표적이다.
서로 접하는 건물 사이에 경계를 이루고 있는 벽.
행정계 및 관민, 민민의 용지 경계 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매설하는 돌로, 자연석, 콘크리트,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