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의 플랜지재 사이에 넣는 웨브재를 용접에 의해 조립한 H형강. - build-up member, roll H
강재(강판, 산형강, 홈형강, I형강 등)의 굴곡 수정에 사용하는 기계.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바닥계의 하나로, 보와 바닥판이 하나가 되어 바닥판도 보의 일부라 생각하여 설계. 시공된 것. T형 보나 바닥계를 거꾸로 한 것과 같은 뜬 기초(floating foundation)등은 이것의 일종이다.
수평 부재가 교차하는 부분에 수평으로 붙이는 보강부재를 발한다. 흙막이공(earth retaining work)에 있어서 띠장이 교차하는 구석 및 띠장과 스트럿(strut)이 교차하는 부분에 보강재로서 이용된다. 또한 일반 건축에 있어서 토대 등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도 사용한다.
storm sewer, storm drain
도로의 측면 배수구에 30 ~ 50m 간격으로 배치한 원형 또는 직4각형의 콘크리트제 용기. 바닥에 토사 저장부가 있고 빗물은 여기로부터 하수 부착관을 경유, 하수 본관으로 들어간다.
부재가 전단력을 받을 때 웨브에 경사 방향으로 생기는 인장력.
빙하를 기원으로 하여 이것이 깨짐으로서 해상으로 흘러내려 바람과 해류에 의해 떠다니는 얼음 덩어리를 빙산이라 한다. 빙산의 밀도는 바닷물의 밀도보다 작으며, 해면상에 나와 있는 부분(11%)보다는 바다 속에 있는 부분(89%)이 훨씬 크며, 빙산의 표류한계는 보통 남북위 약 40부근이다.
좁은 뜻으로는 수면상 높이가 5m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빙산이라 부르고, 5m 이하로 직경 10m 이내인 것은 빙산편이라 한다. 빙산에는 주로 북극에서 발견되는 정상이 돌출된 형태와 주로 남극에서 발견되는 정상이 탁상처럼 평탄한 형태의 2가지 형태가 있다.
결빙에 따르는 팽창에 의해서 얼음이 주위에 주는 압력.
높은 산이나 고위도의 저온지대에서 응고한 만년설이 상층의 적설 압력에 따라 얼음이 되어 육지상에 생성된 빙체를 말한다. 빙하가 차지하는 면적은 현재 약 1억 5천만㎢로 전 육지의 약 10%에 해당한다. 그 중 98%는 남극대륙과 그린란드에 존재한다. 현존하는 빙하를 수량으로 환산하면 약 17백만㎦에 이르며, 해양을 포함한 지구상의 물의 1.1%에 해당하고, 육지의 물중에서는 75%를 차지한다. 현존하는 빙하가 전부 녹는다고 가정하면, 해면은 현재보다 60m 정도 상승할 것으로 계산된다. 참고로 북극해에서 생성된 얼음은 극빙 또는 해빙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