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undary representations 의 약어. 입체 모델을 표현하는 수법의 하나로, 정점이나 능선, 면의 관련성을 기술함으로써 3차원 물체를 정의하는 방법. - primitive
골조에 여러 개의 하중이 작용하고 있을 때 그들 하중의 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하중을 증감하는 것.
이동 나사의 눈금을 양 다리상의 눈금에 맞추어서 간단한 조작으로 선분이나 원의 분할, 축소, 확대가 비례적으로 얻어지는 컴퍼스. propeotional divider
재료가 응력과 휨과의 비례 법칙(훅의 법칙)에서 어긋나지 않는 최대 응력.
응력과 변형과의 사이에 직선 관계가 성립하는 상한. 이에 대한 응력도 또는 하중의 약칭.
응력과 변형의 관계에 비례 관계가 성립하는 한계의 응력도. - proportional limit
수목 중에는 그 뿌리가 어떤 종류의 균류와 공생함으로써 영향을 보급하고 있는 타입이 알려지고 있다. 콩과 식물은 그 대표이며, 근립균(根粒菌)과 공생함으로써 토양 중의 질소를 고정시켜 영양을 보급하면서 토양의 비배(肥培) 촉진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실을 하는 수목의 총칭.
파도의 물보라가 퍼지는 범위를 말한다.
점성토의 1면 전단 시험 및 3축 압축 시험에서 전시험 기간중 배수시키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하는 시험. 비압밀의 경우 UU, 압밀의 경우 CU라 한다. 배수를 허용하는 압밀 시험은 CD라 구별한다. 통상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은 비압밀 비배수 시험 UU이다.
배수하지 않는 조건의 시험에서 얻어지는 흙의 전단 세기. 1축 압축 강도 qu값의 1/2 등은 그 일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