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 콘크리트에는 온도 강하 또는 수축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므로, 미리 인공적으로 균열을 만들어 두고 수축 후에 이 균열을 채워 주면 좋다. 이 개념에 따라서 큰 콘크리트 댐은 댐 축방향으로 15m 정도, 상하류 방향으로는 40m 정도의 간격으로 인공적 균열(이음)을 만들어 두는 수가 많다. 콘크리트의 수축 후 이음에 미리 만들어둔 그라우트 설비로 이음을 채운다. 이렇게 이음에 의해 나누어진 1개의 콘크리트 덩어리를 블록이라 하며, 이와같이 블록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제품을 천모양 또는 골모양으로 겹쳐 싸서 몸통 및 뒷채우기에 콘크리트 또는 둥근 돌을 채워 사면의 침식과 안정을 도모하는 공법을 말한다. 대개 5부이하의 가파른 사면 보호에 채택하는 공법의 하나이다.
블록을 겹쳐 쌓은 비교적 간이한 옹벽.
암반의 전단 강도를 구하는 시험. 시험 암반 위에 콘크리트 블록을 타설하고, 그 블록에 재하(載荷)하여 바로 밑의 암반을 전단하는 시험
댐 콘크리트는 온도강하 및 수축에 의해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이을 막기 위해서 이은 곳에 의해 구분된 하나의 콘크리트 덩이(block)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가 수축한 후에 그라우트에 의해 이은 곳을 채우는 공법이다.
블록 쌓기로 된 벽으로, 통벽과 공동벽이 있다.
아스팔트 제조 과정의 최후에 200 ~ 300°로 가열하여 공기를 장시간(20~40시간) 불어 넣고 아스팔트 성분에 중합을 일으켜 분자량이 큰 아스팔텐을 다량으로 함유시킨 것.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비해 고체에 가까운 성질이 되며 일반적으로 침입도나 감온성(感溫性)은 작고 연화점(軟化點)은 크다. 방수재, 전기 절연재 등에 이용된다. - petroleum asphalt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 모르타르 또는 그라우트에 있어서의 물이 상승하는 현상. 이 상승하는 물은 시멘트 기타의 미립자를 표면으로 운반하여 레이턴스를 만든다든지 굵은 골재의 아래면에 미소한 공극을 만든다. 콘크리트 블리딩의 측정에는 금속 원통의 측정기를 이용하지만 PC 그라우트 블리딩의 측정은 폴리에틸렌 주머니를 이용한다.
바닥이 평평한 원통형 저온 탱크 등에서 2중 껍질의 내외조간 압력을 조정하는 데 사용하는 질소 가스의 저장 탱크. 자동적으로 질소 가스를 공급, 배출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모르터에 있어서 물이 상승하여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을 블리딩이라 한다. 이 괴인 물을 없애지 않고서는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