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내 응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반한 합응력. 중심면 단위 길이당으로 나타낸다. 4개의 면내력이 있다.
복수의 흙입자가 틈을 둘러싸서 집합체를 이루고, 그들이 다시 큰 집합체를 이루어 면모상으로 배열하는 흙의 구조 조직. 찰흙에 많다.
흙입자가 각각이 아니라 면모상으로 굳어져 느슨하고 간격이 큰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
지형도를 그리거나 토공량(土工量) 을 산정하기 위하여 어떠한 면적 내의 토지의 고저를 정하는 작업. 일반적으로 표고(標高)의 기지점(旣知點)에 대한 각 점의 고저차를 직접 수준 측량 또는 간접 수준 측량에 의하여 정하는 방법이 쓰이고 있다.
평면판 혹은 곡면판의 기준면의 법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 휨 모멘트에 따라서 생긴다.
주로 크고 긴 현수교의 보강(補剛) 트러스의 가설 공법으로, 1면의 트러스 1 ~ 3패널분을 미리 조립해 두고, 이미 가설된 교량위를 운반하든가 아니면 수면상 소정의 위치로부터 매달아 올리는 등으로 가설해 가는 공법.
면적 계산 방법에는 직접 계산법과 도상(圖上)계산법이 있다. 직접 계산법은 거리, 각을 직접 측정하여 지도를 만들지 않고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이것에는 3변법, 배횡거법(倍橫距法), 오프셋법 등이 있다. 도상 계산법은 우선 구하는 구역의 평면도를 만들고 도상에서 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것에는 3사법(三斜法), 가늘고 긴 직4각형으로 분할하는 방법, 방안(方眼)으로 분할하는 방법, 면적계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