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물체계의 상태 변화에 있어서 외부와의 사이에 열의출입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이상 기체의 단열 변화가 가역적으로 이루어질 때 압력p와 부피 v는 pvr 상수, 또 절대온도 T와 체적 V는 tvr-1 상수, 단, r는 기체의 정압비열과 정용비열(定容比熱)과의 비이다. 가역적 단열 변화에서는 에트로피는 불변이며, 비가역적이면 증가한다. adiabatic equilibrium
- adiabatic temperature rise
콘크리트는 수화 작용에 의해 수화열을 발생한다. 그 경우에 열이 콘크리트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그 주위를 적당한 단면재로 에워싸면 콘크리트의 온도는 점점 상승해 간다. 이 현상을 단열 온도 상승이라 하며, 이와 같이 콘크리트가 가지고 있는 열량이 적극 방열되지 않도록 하는 양생 방법을 단열 양생이라 한다. 단위 시멘트량이 220kg정도의 콘크리트를 단열 양생할 때에 온도상승을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경우 약 33 - 42c, 저열 시멘트의 경
열의 전도를 막음.
외부와 열의 출입이 없는 조건에서 기체의 상태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단열변화라 한다.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서 압축이나 팽창 과정에서 하여진 일은 엔탈피의 변화를 가져온다. 공기가 단열팽창을 하면 엔탈피의 감소를 가져오므로 공기온도는 하강하고, 공기가 단열 압축될 때는 엔탈피의 증가를 가져오므로 공기온도는 상승한다.
건조한 공기가 상승할 때는 단열팽창에 의해 100mj 상승함에 따라 약 1℃의 온도가 내려간다. 해수가 표면으로 올라갈 때도 단열팽창에 의해 수온이 내려가며, 이와 같은 현상으로 생긴 온도를 포텐샬온도라 한다.
가옥 등 건축물의 열 손실을 막기 위해 단열재를 사용해서 하는 공사.
타입 직후의 콘크리트 1m3중에 포함되는 굵은 골재의 중량.
선형 탄성체(변형을 θ' γ, u'로 한다)에 작용하는 힘 Pi는 그에 대응하는 단위 가상 변위를 줄 때 그에 적합하는 변형을 θ1', γ1, u1'로 하면 ---------로 주어진다고 하는 정리.
구조체의 구성 단위가 되는 뼈대. 규준적인 라멘, 트러스, 판 등을 가리킨다. 조립식 구조에서는 특히 중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