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시의 고정 하중, 적재 하중에 의한 응력(장기 응력)에 지진, 폭풍, 적설 등 비상시의 하중에 의한 응력을 조합시켜서 합성한 설계 응력. stress due to temporary loading
장기 하중에 대한 용어. 상시 하중과 적설. 폭풍. 지진 등의 비상시 하중을 각각 조합시킨 하중의 상태. 실제 계산에서는 하중이 아니고 응력으로 조합된다.
[1] 지진력, 풍압력, 다설(多雪) 구역 이외의 일반 지방에서의 적설 하중, 충격 하중 등과 같이 단시간 작용하는 하중의 총칭. [2] 장기 하중과 상술한 임시 하중의 합. 구조 계산에서 쓰이는 단기 하중은 이 뜻이다. short-time loading
단기 허용 응력도를 바탕으로 한 단기 응력에 대한 허용 응력.
평판 측량에 있어서 골조 측량으로서 1점 간격으로 평판을 설치하고, 컴퍼스로 도판의 정위를 하여 골조도를 작성해 가는 방법. 능률적이지만 정밀도는 좋지 않다. [1] 지상점 A와 도면상의 점 a를 일치시킨다. (ab 방향선을 그려 b점을 정한다) [2] C점으로 도판을 옮기고 컴퍼스로 도판을 정위 (b점에 바늘을 꽂고 bc방향선을 그려 c점을 정한다. cd방향선을 그려 d점을 정한다) [3] [2]와 동일하게 .....
가장 간단한 구조의 서지 탱크로, 원통형의 수조이다. 확실한 것은 부하의 급속한 증감에 따라 수면의 승강이 완만하기 때문에 큰 용량의 수조가 필요하다.
와이어 로프를 감는 드럼이 1개인 윈치.
흙입자가 서로 맞물려서 구성하는 흙의 구조를 가리킨다. 조립토(粗粒土)의 배열 상태에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