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흙 등의 토목 재료를 롤러 등으로 다지는 것. 포장의 경우 노상, 노반의 지지력의 증대, 포장 완성 후의 침하의 방지 등을 위해 머캐덤 롤러, 소일 콤팩터, 타이어 롤러, 진동 롤러 등에 의해 다진다. 또한 표층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우도 그 혼합물의 최대 밀도가 얻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표면을 평탄하게 다듬질하기 위해서 다진다. 필 댐의 차수 존에서는 말아 낸 토질 재료를 타이어 롤러 등에 의해 다져 필요한 수밀성 및 강도가 얻
아스팔트 포장을 다지는 온도는 일반적으로 다음에 나타내는 값의 범위에서 한다. 초전압은 100∼140℃, 2차 전압의 온도는 로울러 마아크(roller mark)를 지우는 범위이다.
아스팔트 포장이나 노상 혹은 노반에 있어서의 다지는 회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노상 : 다지기 시험에서 얻어지는 최대 건조밀도의 대개 90∼95% 이상을 목표로 함수비에 대응하는 다지기 회수를 정해서 한다. 노반 : 목표로 하는 수정 CBR 값에 대응하는 다지기 회수를 정해서 한다. 아스팔트 포장 : 초전압은 1왕복 정도, 2차 전압은 소정의 밀도를 얻을수 있는 회수이고, 마무리 전압은 완전히 고르게 할 때까지 한다.
함수비를 변동시켜 표준다지기 시험에서는 얻어진 최대건조밀도에 대한, 대상이 되는 다져진 흙의 건조밀도의 100분률을 말한다.
(1) 다져서 확실한 대답을 받음. (2) 이미 한 일이나 앞으로 할 일이 틀림없음을 조건 붙여 말함. (3) 다지는 일. (4) 굳게 다듬음.
흙쌓기 또는 콘크리트 타입 등에서 틈이 작고 조밀하게 되도록 찌르거나 두드리거나 하는 것.
흙의 함수비를 바꾸어 일정한 방법으로 다짐했을 때의 함수비와 건조밀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흙의 다짐이란 밀도를 높이는 것인데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인위적 에너지를 이용한다. 이 에너지를 얻기 위한 각종 기계류를 말한다. 콘크리트의 다짐에는 바이브레이터가 이용된다. 다짐 기계의 선택은 현장의 토질, 함수량, 작업 조건, 토공량, 공정, 전압 효과 등으로부터 그것에 적합한 것을 결정한다.
지반이 말뚝과 한 몸이 되어 하중을 받치는 것, 혹은 액상화(液狀化) 저항의 증대를 노려 말뚝을 접근시켜 타설하여 지반을 다지는 것.
여러 가지 습윤 상태의 습윤 밀도를 구해 최적 함수비를 찾는 시험. 흙 다짐의 관리에 이용된다. 또 시공법의 결정에도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