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에서는 지복(地覆)의 위에 노면으로부터 90cm 를 표준으로 난간을 만들어 자동차 및 통행자의 안건감을 높이고 있다. 난간에 자동차가 충돌한 경우나 보도에 군중이 밀집한 경우 등에서 큰 추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거더보디의 일부 특히, 하로(下路) 형식의 트러스 복재(腹材) 등으로부터는 분리하여 부착해야 한다. 난간에는 주철, 주강, 형강, 평강, 가스관, 경량 형관, 가드 레일, 알류미늄 합금, 철근 콘크리트 등의 재료가 사용되며, 외관도 교량의
계단 툇마루 다리 따위의 가장 가장자리에 나무나 쇠붙이 따위로 가로세로 세워 놓은 살
층류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유체의 각 부분이 시간적·공간적으로 불규칙한 운동을 하면서 흐르는 흐름을 말한다. 규칙적인 흐름에 의한 운반에 추가되어 운동량·열·용존 물질의 운반이 발생함에 따라 균일한 운동에 불규칙적인 운동이 겹쳐 생긴 흐름이다. 난류는 일정한 평균 유향과 시간·공간적으로 급격히 변동하는 두 가지 요소를 동시에 가지게 된다.
변동하는 요소는 혼돈스럽기는 하지만 완전히 무질서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운동량의 운반은 점성마찰에 비교할 수 있는 내부마찰이나 경계층마찰을 일으킨다. 하지만 이들 마찰은 점성마찰보다 훨씬 크므로, 운동방정식에서 유일한 마찰력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해양운동은 대부분 난류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해양학에서는 열과 용존 물질의 난류혼합이 분자적 확산보다 더 중요하다.
한류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열대나 아열대해역에서 발원하여 적도로부터 고위도로 향하여 흐르는 고온·고염분의 해류를 말한다. 난류는 산소와 영양염류가 적고 플랑크톤도 적어 생산력이 낮다. 쿠로시오 해류와 멕시코만류가 이에 해당되며, 우리나라 주변해역에서는 대마난류와 동한난류가 이에 속한다.
물의 흐름이 관 등의 축선(軸線)에 평행이 아니고, 물입자가 섞여서 소용돌이를 이루며 흐르는 현상. 레이놀즈의 실험에서는 난류의 경우 레이놀즈수 Re는 Re>2320이다.
유체의 흐름에서 평균값에 대하여 평균으로부터의 변동 성분.
유체의 흐름에서 유체의 평균 운동 에너지로부터의 변동 성분의 운동 에너지. turbulence en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