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의 구조를 설계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CBR(California bearing ratio). 그 대부분이 포장 두께의 결정에 이용되고 있다. 현장 CBR를 교란되지 않은 시료의 실내 CBR의 결과에 따라 보정한 것 및 교란된 노반토를 현장에서 예기되는 밀도로 다지고 4일간 침수시킨 시료에 관하여 측정한 것이 사용된다.
노상토(路床土)의 지지력을 비교하기 위해 생각해 낸 관입 시험의 일종. 노상토 지지력 시험이라고도 한다. 도로의 기층을 만들 때 사용하는 가장 우수하다고 여겨지는 크러셔.런(crusher-run)을 사용하여 지름 5cm의 피스톤을 관입했을 때의 관입 깊이와 단위 하중에 대한 단위 하중이 몇 %인가를 구하는 시험. 그 %를 CBR값이라 한다. 노상토 및 포장용 입상 재료의 강도 지표로서 사용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용 정착 공법의 일종. PC강 연선을 쐐기로 정착하는 방법의 하나로, 싱글 스트랜드 시스템을 비롯한 네가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consolidated drained test
미국 공병대가 개발한 공항 포장의 설계법으로, 신축성 포장의 설계법과 강성(剛性) 포장의 설계법이 있다. [1] 신축성 포장의 설계법: 항공기의 각부(脚部) 하중, 노상토(路床土)의 CBR로부터 포장 두께를 구하는 방법이다. 현재 미국 각주, 유럽 등에서 가장 많이 채용하는 방법이다. 구조 설계는 노상의 설계 CBR, 항공기 하중에 따른 접지압 및 타이어 접지 면적의 함수인 기준 포장 두께 설계 기본식에 근거하게 되며 이것을 표. 기층, 상. 하층
집락형성 단위로서 일반세균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먹는물에서 수질기준은 100 CFU 이하/ml로서 배양접시에 검액(1ml) 또는 희석된 검액(1ml)과 배지(plate counte agar : 15∼20ml)를 부어서 잘 혼합하여 응고시킨 후 37℃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집락수(CFU)를 확인한다
집락형성 단위로서 일반세균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먹는물에서 수질기준은 100 CFU 이하/ml로서 배양접시에 검액(1ml) 또는 희석된 검액(1ml)과 배지(plate counte agar : 15∼20ml)를 부어서 잘 혼합하여 응고시킨 후 37℃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집락수(CFU)를 확인한다
발파 후의 가스에 함유된 것 외에 디이젤 기관에서도 발생한다. 식염을 함유한 폭약은 CO의 발생이 적고 카아릿(carlit)류는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맹렬한 독이 있어 대기중의 농도가 0.1%일 때 1분간 있으면 두통이 심하고, 0.2%에서는 가사상태 및 허탈상태가 되고, 0.3%일 때 1분간 있으면 죽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