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노미터(수압계) 수주의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 - hydraulic gradient, Darcy's law
빙식곡이 침수하여 생긴 좁고 깊은 만입을 말한다. 빙식곡은 횡단면이 U자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양쪽 벽면은 급한 절벽을 이루며, 후미는 너비보다 길이가 매우 길고 수심도 깊다. 제4기의 빙기에 해안에서 발달한 빙하가 깊은 빙식곡을 만들었고, 간빙기에 빙하가 소멸한 다음, 그곳에 바닷물이 침입하였다가 해면이 다시 상승하여 형성되었다. 노르웨이·그린란드·알래스카·칠레 등의 해안에 널리 발달되어 있다.
홍수유출 조정지에서 조정하는 물의 양이다. 개발전과 개발중의 홍수 피이크 유출량을 산출하여 공사중의 증가분을 피이크 커트량으로 한다. 홍수 피이크 유출량의 적정식은 대개 합리식을 이용한다. 피이크 커트량∼합리식(rational식) Q(1/3.6)×f×r×A(Q : 피이크유량치(m3/sec), f : 유출계수, r : 최대 평균 시간우량(mm/h), A : 유감면적(km2)
홍수를 소통시켜 선로의 축제를 방호할 목적으로 만든 다리. 홍수의 범람지내에 만드는 철도교이다.
계단 옆판에 디딤판과 챌판의 위치를 그리기 위한 보판.
리벳. 볼트 등의 간격을 새긴 선.
1조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 이탈리아어의 piccolo(작다)가 어원이다.
전력의 수요량을 전력 부하라 하며 1일 또는 어떤 기간 동안의 부하의 최대값을 피크 부하라 한다. 전력의 수급 계획, 나아가 전력 설비 계획에서는 이 피크 부하를 어떻게 하여 합리적으로 만족시키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특정한 상황에 있어서의 연속 60분간의 최대 교통량으로, 교차점 등의 설계에 상용되는 교통량.
콜 피크, 핸드 해머라고도 하는 가장 소형의 공기 착암기로, 하향 천공에 사용되기 때문에 싱커라고도 한다. 소규모의 굴착, 석탄, 연암, 콘크리트 등의 굴착, 암괴의 분할 등에 사용될 경우가 많다. 기체 중량은 10kg 이하부터 20kg 을 넘는 것까지 있지만, 1명이 조작하기에는 15kg 이하가 취급하기 쉬우며, 소형의 것은 피크에 회전을 부여하지 않고 피스톤에 의한 타격만으로 연암 등을 찔러 부수도록 되어 있다. coal pick ham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