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 설계에 있어서 교량의 폭 또는 구조에서 정해지는 재하폭(載荷幅)에 대해서가 아니라 차선 마다 고려되는 활하중(活荷重).
필(fill)형의 댐에 있어서 지수의 목적으로 축조된 부분을 말한다. 따라서 충분한 차수효과를 지니는 투수계수를 갖는 한편 침투파괴에 대해서는 안전하도록 입도와 두께가 알맞는 재료를 선정해서 설계하지 않으면 안된다.
일반적으로 통문의 본체에 잇따른 누수의 침투경로를 길게 해서 침투수를 차수할 목적으로 설치한 것인데 널말뚝 혹은 콘크리트의 컷오프가 쓰인다.
어스 댐이나 록필 댐 등의 필 타입 댐에 있어서 저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댐의 본체의 중앙부 또는 상류측 표면에 설치하는 불투수성의 벽. 댐의 본체 내부에 설치하는 차수벽을 특히 심벽이라 하고, 점토 등의 불투수성 재료로 만든다. 표면 차수벽에는 철근 콘크리트. 아스팔트. 강판 등이 사용된다. impermeable wall
존형 필댐(zoned filldam) 및 표면 차수벽형 필댐은 하중을 지지하는 투수 존과 물을 통과시키기 않는 차수벽 부분으로 구성된다. 차수벽을 재료에 따라 분류하면 토질 재료로 만들어지는 토질 차수벽,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 콘크리트 차수벽,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 아스팔트 차수벽이 있고, 형상에 따라 분류하면 표면 차수벽과 내부 차수벽으로 분류되는데 내부 차수벽은 다시 중앙 차수벽과 경사 차수벽으로 나뉜다. 존형 댐에는 토질 차수벽이 내
2점간의 압력차를 계측하기 위한 장치의 총칭.
(1)(볕을 가리거나 비를 막기 위하여) 처마 끝에 덧대는 조붓한 지붕. (2)(학생모나 군모 따위에서) 모자의 앞에 대어 이마를 가리거나 손잡이 구실을 하는 조각.
불꽃이나 열기류의 관통을 방지하는 능력. 구획 구성 부재의 내화 성능을 평가하는 항목의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