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 속의 수직 응력 분포를 생각할 경우에 탄성체에 대한 부세네스크의 공식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바로미터.
경영에 있어서의 각종 관리 기능을 본사 혹은 본부라고 불리는 중추 기구에 집중화한 관리 형태.
강우 종료 후 유역의 최원점에서 강수가 유출구까지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말한다.
하중의 재하 면적이 좁고 한점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하중. 양(量)기호는 일반적으로 P.
1일당 100mm 이상의 강우가 100km2 이하의 좁은 범위에서 단시간에 내리는 강우. 주로 대류성의 구름이 발달하여 발생한다.
각종 공장의 작업에 의해서 생기는 공기. 가스 등의 배기 중에 혼입하는 부유하는 금속 가루. 재. 그을음. 톱밥 등의 분진을 보안, 보건 혹은 유용 분진의 회수 이용을 위해, 또는 공기 조화용의 공기를 청정화하기 위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을 이들 기체에서 분리 수집하는 것. 집진법에는사이클론을 사용하여 원심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방법. 코트렐 장치 등의 집진 장치에 의해 정전기적으로 미분진을 전극에 침착시키는 방법. 집진실을 설치하고 그 실내에서 중력에 의해 분진을 자연 낙하시키는 방법, 분진을 포함하는 공기를 고체판에 충돌시켜 거기서 부착시키는 방법, 분무에 의해 분진을 적셔서 낙하시키는 방법, 여과에 의해 입자를 포집(捕集)하는 방법 등이 있다.
집진용의 기계 장치. 공업적으로 중요한 것은 사이클로트론, 코트렐 장치 및 공기 조화용의 전기 집진 장치 등이다.
[1] 먼지를 포함하는 가스 중의 입자를 분리, 포집하는 장치. 중력, 원심력, 관성력, 정전기력 등을 이용하여 제진(除塵)하고 있다. [2] 바닥이나 물건에 묻은 먼지를 흡인하는 장치. dust collector
집진 장치의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 집진량(농도)를 입구에서의 농도로 제한 값.
관거의 합류나 집합하는 곳에는 맨홀(man hole)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밖에 하수도의 시설설계지침에는 관거의 방향과 경사관의 지름이 바뀐 곳과 단차가 생기는 곳에도 설치하는 외에 관의 지름에 따라 일정한 거리내에는 만들도록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