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우드 로울러(load roller)의 구동륜에 기진기를 붙여 그 진동력과 자동으로 하여금 전압을 행하는 것으로서 자주식과 피견인식이 있다. 진동로울러는 자갈이나 사질토의 다지기에 유효하며 점토상에는 부적합하다.
주기적인 운동에 있어서 단위시간에 같은 운동이 되풀이 되는 회수이다. 단위는 cycle/sec, cps 혹은 Hz가 이용되는데 주파수라고도 한다.
2π/주기(T)를 진동수(σ)라 한다.
주로 도로용 다짐 기계로, 롤러, 타이어 또는 플래이트에 진동 장치를 부착하여 다진다(진동식 롤러, 바이브레이팅 소일 콤팩터, 바이브로 래머, 임팩트 롤러 등).
철륜형 진동식 다짐기. 탠덤형 철륜 롤러로서 바퀴 내부에 진동을 일으키는 기진기(起振機)를 갖추고 롤러의 자체 중력과 진동력으로 다짐 작업을 한다. 소형 롤러의 다짐 효과를 크게 한 롤러이다. 크기는 중량으로 나타낸다. 다짐 효과가 큰 토질은 모래 또는 사질토이며 함수비가 큰 점성토에는 부적당하다.
기진기(起振機)를 말뚝에 부착하여 상하 진동을 주고, 말뚝의 주변 마찰력을 감소시켜 기계 및 말뚝의 지중에 의해 말뚝을 지중에 관입시키는 기계. 소음이 적고, 말뚝 머리의 손상이 적으며, 말뚝을 뺄 때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말뚝에 진동을 주어 지반에 박기 위한 기계. 2개의 편심추를 회전시켜 상하 진동만을 발생시키고 그 진동에 의해 말뚝을 박는다. 구조가 간단하며 고장도 적고 거의 무소음이며 지반의 진동도 적다. 큰 말뚝이나 단단한 지반의 말뚝 박기에는 부적당하다. 말뚝 빼는 기계로서도 이용된다.
기진기로 하여금 두꺼운 강판이나 주강의 평판을 진동시켜 그 진동과 충격으로 다지기 효과를 올리는 것인데 수동식과 진동분력에 의한 이동식 및 자동식(자주식)등이 있다. 소일 콤팩터(soil compacter)라고도 하며 자주식에는 진동판을 트랙터(tractor)에 부착한 형태의 것도 있다.
물의 입자가 궤도운동만 할 뿐 파의 진행방향은 거의 이동하지 않은 파를 말한다.
항타(말뚝박기)공법 가운데 상하방향의 기진력을 이용해서 말뚝 주변의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진동으로 하여금 말뚝을 박아 넣는 기계를 말한다. 진동파일 드라이버는 연약지반의 타입이나, 견고한 지반의 인발 또는 널말뚝의 타입 및 인발 등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