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은 음과 같은 파동이며, 진동의 강도는 어떤 기준 진동의 강도에 대한 비의 대수값인 가속도 레벨로 나타내고 단위는 음압 레벨과 동일하며 데시벨이다. 사람이 진동을 느끼는 방식은 동일 가속 레벨에서도 주파수나 연직동과 수평동에서 다르기 때문에 이 인체 감각을 보정한 것이 진도 레벨이며, 그 단위는 계량법에서 데시벨로 정해져 있다.
(1) low-frequency vibration meter (2) 진동 레벨을 지시하는 진동계. 주로 공해 진동의 측정에 사용한다.
주기, 감쇠. 진동형과 같은 구조물의 진동 특성을 구하기 위한 실험. 기진기(起振機)나 진동대에 의한 강제 진동, 자유 진동 등.
진동을 발생하고 있는 물체가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 운동 에너지와 변형 에너지의 합으로서 나타내어진다.
진동에 의해 야기되는 장해. 예를 들면 강성이 낮은 바닥에서 보행하는 사람이나 옥외의 교통 기관 등에 의해 유기되는 불쾌한 진동.
임의 진동계에서 입력하는 진동 에너지보다도 그 계에 생기는 진동 에너지가 커지는 현상.
진동식 체. 골재의 체질에 사용되는 체로, 철망이나 다공판, 굵은 바(bar) 의 그리즐리 덱(grizzly deck) 등으로 원진동, 타원 진동 또는 직선 진동을 주어 공급되는 골재를 분산 이동시키면서 체질하는 것. 체의 면의 설치 각도에 따라 경사형, 수평형, 그리고 현가 방식에 따라 상치식(床置式), 현수식, 또한 진동 발생 기구에 따라 불평형 추(錘)식, 편심축 구동식, 공진식, 전자 진동식으로 나뉜다. 원운동의 경사식을 리플 플로 스크린식, 직선 운동의 수평식을 로헤드 스크린식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