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형도에 대한 등고선의 수평간격이 아래 쪽이 넓고 위에서 좁은 경우는 요사면을 나타낸다. 하부가 좁고 상부에 이르는데 따라 넓어진 것은 철사면을 나타낸다.
해류를 육체 역학적으로 분석할 때 표현하는 흐름으로서, 균질의 성층해양에서 유체의 운동이 마찰의 영향을 무시하고 일정속도를 유지하면서 외력은 없다는 가정하에 전향력과 압력경도력이 평형을 이루며 흐른다.
실제의 해류는 지형류에 가까울 뿐이다.
지형류는 등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흐르는데, 북반구에서는 압력이 낮은 쪽이 왼편에, 남반구에서는 오른편에 놓이게 된다.
측정지의 수준면과 주변이 일치한다고 가정한 상태로 보정하는 것을 말한다. 지형의 고저로 인한 물질의 불균등분포는 관측지 중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산에서는 (+), 골짜기에서는 (-)값을 갖는다.
습도가 높은 기류가 산맥이나 산지를 넘을 때에 일어나는 상승 기류에 의한 비.
지구상의 凹凸을 등고선 등을 이용해서 그림으로 표현한 것을 지형도라 하는데 지형도를 만들기 위한 측량을 말한다. 지형측량으로는 골조를 3각 측량, 트래버스 측량, 세부는 사진측량에 의할 때가 많다.
목재 중 존재하는 지수가 퇴적된 공극부.
단면이 직4각형인 수로.
기구(메커니즘)의 변위 해석에서 사용하는 도해법. 실제의 변위를 90°회전하여 그린다. 독립의 부재각과 종속 부재각의 관계 등을 정량적으로 정할 수 있다.
(1) 하나의 각이 90°인 자 (3각자, T자 등). (2) 도시의 도로 교차점이나 공관 앞 등에 교통, 미관, 집합 등의 목적으로 두어진 빈터.
침목을 생략하고 콘크리트 도상(道床) 또는 콘크리트 거더에 2중 탄성 체결 방식 등에 의해 직접 레일을 체결한 것. 터널, 교량, 고가교 등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을 더욱 개량한 것에 슬래브 궤도가 있다. - slab track, elastic fasten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