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175/1604)

일반적인 도시 하천으로서 하도가 터널로 되어 있는 하천. 터널 하천이라고도 한다.
좁은 뜻으로는 공공의 지하 통로 및 그에 면해서 만들어지는 점포군을 말한다. 넓은 뜻으로는 그것과 연속하는 건물의 지하층, 지하철역, 지하 주차장, 지하 광장 등을 총칭해서 말한다. underground street
지하도의 양쪽 또는 한쪽에 면하여 두어진 점포. 사무실 등으로 구성된 가구(街區).
매설물 또는 콘크리트 블록담 등에 근접해서 굴착을 할 경우는 보강하거나 이설한 다음에 작업을 한다. 가스도관 등이 나왔을 경우는 적당한 보호를 한 다음에 일을 한다.
1) 지하의 매설물을 조사할 경우는 그 소유자의 입회를 구한다. 2) 수평 1.5m, 수직 1m 이내에 매설물이 예상될 때는 시굴 등에 의해서 위치를 확인한다. 3) 공사중에 매설물이 노출했을 때는 소유자와 협의하는 방법으로 이것을 유지해서 공사중의 손상을 방지한다.
길 바닥이나 노반의 안정화를 위하고 또 지역 밖에서의 침투수나 지하수의 저하 및 표면에서의 침투수를 처리하기 위해 도로 부지내에서 지표면하에 설치하는 배수를 말한다.
지하 부분에 두는 벽체의 총칭. 지하층의 벽, 굴착용의 흙막이벽 등을 말한다.
지하의 지층이나 암석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있는 물
강우의 일부는 지표로부터 토양의 틈새로 침입해서 물을 투과하지 않는 층에 이르면 그 위에 고이는데 이 물을 지하수라 한다. 지하수면의 상부에도 수분은 있으나 틈새가 작으면 모세관수(毛細管水)가 되어 표층으로 올라온다. 식물의 뿌리가 흡수하는 수분은 주로 모세관수이다. 지하수의 종류는 그림과 같다. underground water, subsoil water
지표면 밑에 있는 물. 지하수는 둘로 나눈다. 하나는 포화대에 있는 물이며 샘이나 우물의 공급원으로 되고 보통 지하수라고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지표면과 포화대 사이인 불포화대에 있는 물이며 현유수라고 하는 것이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