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 과제명
-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 기관명
- 부산광역시
- 담당부서
- 바이오헬스과
- 전화번호
- 0518883486
- 연구기간
- 2024-08-23 ~ 2025-02-10
- 연구분야
- 산업·중소기업 일반
- 과제개요
- ․화장품뷰티산업의 정의 및 범위
․국내외 화장품뷰티산업 환경 조사 분석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현황 및 경쟁력 분석
- 국내·외 화장품뷰티산업 동향
- 국내·외 화장품뷰티산업 정책 및 제도
- 지자체·기업 협업모델 사례 및 트렌드 분석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육성 기본계획 주요 전략
- (전략 1) 브랜드 경쟁력을 통한 기업의 성장기반 확보
- (전략 2) 지역산업과 연계한 화장품뷰티산업 활성화
- (전략 3) 기술혁신 및 스타트업 육성
- (전략 4) 글로벌 시장 진출과 산업 확대
- (전략 5) 인재양성과 산학 협력 강화
계약정보
- 수행기관
- (주)로운인사이트
- 수행연구원
- 김병진
- 계약일자
- 계약방식
- 계약금액
- 68,500,000 원
연구보고서
- 제목
-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 초록
- 제1장 서론
k-뷰티가 세계적으로 인기 화장품뷰티산업의 글로벌시장 급성장 등 산업 육성 필요성 증대
제2장 화장품뷰티산업 정의 및 범위
화장품법에 따른 화장품 제조업 책임판매업 및 맞춤형화장품과 화장품 용기 포장 등 부자재 연구 생산하는 산업
화장품제조를 중심으로 원료 재료 등 후방산업과 유통 뷰티서비스 등 전방산업으로 밸류체인 구성
제3장 국내외 화장품뷰티산업 환경 조사 분석
2023년 기준 화장품 글로벌 시장규모는 약 5080억 달러 2029년까지 8220억 달러 전망
2023년 국내 화장품 생산액은 11억달러 수출액 85억달러 무역수지 71억 달러
제4장 부산 화장품뷰티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
제조업 170게 책임판매업 1213개 맞춤형 18개 부자재기업 시험검사기관 없음
화장품관련학과 19개 재학생수 6727명
제5장 부산 화장품뷰티산업의 육성 기본계획 주요 전략
비전 지역의 화장품뷰티산업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도약기반 마련
목표 혁신자원 및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화장품뷰티 관련 기업의 성과 창출
5대 전략
브랜드 경쟁력을 통한 기업의 성장기반 확보
지역산업과 연계한 화장품뷰티산업 활성화
기술혁신 및 스타트업 육성
글로벌 시장 진출과 산업 확대
인재양성과 산학 협력 강화
제6장 결론
산업적 경제적 지역적 고용적 측면에서의 산업활성화로 인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 등
- 주제어
- 부산화장품, 화장품뷰티, K-뷰티
- 발행년도
- 2024
연구결과 평가 및 활용보고서
- 평가결과서
- 활용결과 보고서
공공누리
- 공공누리
동의여부 - 저작물 민간이용 동의
- 공공누리 정보
- 부산광역시의 창작 저작물인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의 경우[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