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정책연구용역 보고서

과제정보

과제명
소형모듈원자로(SMR) 소부장 파운드리 구축사업 상세기획
기관명
부산광역시
담당부서
원자력안전과
전화번호
051-888-3031
연구기간
2023-06-02 ~ 2023-12-01
연구분야
중소기업 기술지원
과제개요
o 소형모듈원자로(SMR) 소·부·장 관련 국내외 및 부산시 현황분석으로 부산시 주도 파운드리 구축의 필요성 및 당위성 도출
o 정부부처 예산반영 및 부산시 유치를 위한 사업 사전 기획내용 고도화 및 사업추진 타당성 확보

계약정보

수행기관
(재)부산산업과학혁신원
수행연구원
박종헌
계약일자
2023-06-02
계약방식
수의 계약
계약금액
93,000,000 원

연구보고서

제목
소형모듈원자로(SMR) 소부장 파운드리 구축사업 상세기획
연구보고서
촤종보고서.pdf
초록
▣ (필요성) 국내외 원자력 정책 패러다임 전환
● 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전환 정책이,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의 현실화에 직면하면서, 에너지전환에 대한 새로운 정책 전환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
●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대형원전의 공사 지연 등으로 소형모듈형원전, 4세대 원자로와 같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니즈 증가
● 주요 원자력 강국들은 SMR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대규모 지원책을 발표하며 신규 노형 개발 및 건설 지원
● 세계적으로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등 18개 국가에서 80종 이상의 SMR 노형이 개발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방안으로 SMR 기술을 확보하고자 함
● OECD 원자력기구(NEA)가 2016년 발표한 ‘Small Modular Reactors Nuclear Energy Market Potential for Near-term Deployment’를 통해 전체 원자력발전 발전 설비용량 중 SMR의 비중 전망을 제시함
● 국내 기업 10개 회사는 소형원전 미래 사업을 선점하기 위해 미국, 덴마크, 캐나다에서 개발 중인 소형원전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음
● 2035년에 예상되는 SMR 발전규모는 최대 21,000 MWe에 달함. 이에 따른 기존발전 대체, 오지 열/전력 공급, 수소생산 등 기존산업 적용 등의 기대효과가 연간 1,070억 달러로 예측(출처: 전기저널, 세계 SMR 개발 현황과 전망, 2021)
● 국내 원전시장의 약화와는 반대로 전세계적인 원전시장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전세계 총 원자력 전기생산량은 '12년 2,346 TWh → '16년 2,441 TWh → '21년 2,653 TWh 로써 2021년은 역대 3번째로 높은 수치로 기록됨*)
● 미래 친환경 경제화의 일환으로 SMR에 대한 수요증가에 따라 부산지역을 주심으로 지속성장동력, 국가경쟁력 확보 등을 위한 SMR 보조기기 기반조성 필요

▣ (부산 당위성) 부산은 고리원전을 중심으로 원전환경복원 산업과 SMR 보조기기 산업화에 시너지 효과가 높으며 전력, 에너지(해양수소생산), 기계, 조선, 방산 등 관련 산업과의 적용을 통해 높은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이 용이함
주제어
SMR
발행년도
2023

공공누리

공공누리
동의여부
저작물 민간이용 동의
공공누리 정보
부산광역시의 창작 저작물인 소형모듈원자로(SMR) 소부장 파운드리 구축사업 상세기획의 경우[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기획담당관
051-888-1748
최근 업데이트
2024-07-0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