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굿둑 개방 및 생태계 복원
조회수 : 840
- 선정기준
- 총사업비 100억원 이상인 투자사업
- 소요예산
- 21,370,000 천원
- 진행상태
- 완료
- 사업기간
- 2012-01-01 ~ 2025-12-31
- 전화번호
- 051-888-3596
- 사업부서
- 하천살리기추진단
- 담당자
- 조원곤
- 주요내용
- 
						▣ 추진배경 ○ 1987년 하굿둑 건설 이후,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 소실, 생물 다양성 감소, 강 호소화로 녹조발생 등 강 생태 ․ 환경문제 발생 ○ 국가가 관리하고 있는 낙동강 하굿둑을 점진적으로 개방하여 해수 유통 및 재첩‧장어‧연어 등 생물자원이 풍부한 기수생태계 복원 ▣ 주요사업 [2013~2015년] ① 낙동강 하구 생태계 복원 타당성 조사연구(5.5억원) - 환경부 주관 용역(1ㆍ2차)으로, 하굿둑 수문 부분개방으로 해수유통, 하굿둑 상류 일정구간까지 기수역 복원 가능성 제시 ② 낙동강 하굿둑 점진적 개방 선언(2015.09.23., 부산시장) - 환경부 용역 결과를 검증할 3차용역 추진을 중앙부처에 요구 - ’17년부터 용역시행 점진적 개방, 용수문제 해결 이후 완전 개방(25년) [2016년] ① 낙동강 하구 실시간 염분 모니터링시스템 구축(5.3억) - 위치 : 낙동강 주요지점 10개소에 측정기 17대 설치 - 기능 : 실시간 염분모니터링 및 전파체계 구축, 염해 사전제어 ② 강서 공업용수 정수장 이전 완료(2012~2017.09., 180억) - 강서구 대저동 공업용수 취수원을 덕산정수장으로 이전 (하굿둑 상부 8km 지점 → 30km 상류로 취수원 이전) ③ 낙동강 하굿둑 개방 시민공감대 확산 노력(0.4억) - 원탁회의, 시민포럼, 걷기대회, 국제ㆍ국회포럼, 시민간담회 등 [2017년] ① 낙동강 하굿둑 수문 부분개방 원년 실현 노력 - 하굿둑 부분개방 촉구를 위한 범시민 공감대 확산 활동 ㆍ범시민 결집사무 민간위탁 추진으로 효율적인 홍보활동전개 ㆍ원탁회의, 현장간담회 등 민ㆍ관협치 강화로 소통하는 시정 - 염분모니터링 자료 축적 및 자체 염분 확산 시뮬레이션 ㆍ이미 구축된 염분모니터링시스템을 통해 체계적인 DB 구축 ㆍEFDC 프로그램 활용 하굿둑 수문운영 최적모델 연구 추진 - 하굿둑 개방을 위한 중앙부처 및 수계지자체간 협의강화 등 ㆍ대선공약 채택 추진 등 국가하천에 대한 국가정책화 노력 ㆍ부처 및 지자체 상생 번영 논리개발로 3차용역 착수 견인 ② 새정부 지역발전공약 반영 및 3차용역 정부공동추진 합의 - 대통령 부산지역 발전공약에 ‘하굿둑 개방을 통한 낙동강 르네상스 부흥’ 반영 및 새정부 국정과제에 포함(환경부) ㆍ환경부 국정과제(59번) 실천과제④ : 낙동강 수질‧수생태계 단절해소를 위한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반영(‘17.7.) -“낙동강 하구 환경관리를 위한 관계기관 실무협의회”운영(‘17.7.~10.) ㆍ낙동강 하굿둑 개방 3차용역 공동추진 합의 - 낙동강 하굿둑 개방 3차용역 5개기관 공동추진 협약(‘17.11.) ㆍ시행기관 : 부산시, 환경부, 국토부, 해수부, 수자원공사  [2017.12.~2020.10.] ① 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용역(1단계, ‘17.12.~’18.9.) - 하굿둑 개방 영향(하천, 해양 등) 검토 및 구조물 안전성 확보방안 - 지하수 염분침투로 인한 농작물 등 영향 분석‧평가 - 수문개방 시범운영(실증실험) 방안 마련 - 낙동강 하구역 생태 ‧ 환경 모니터링 등 ② 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용역(2단계, ‘18.10.~’20.10.) -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 시범운영(실증실험) 시행 - 인근 취수원, 농어업, 해양 등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및 대책 마련 - 하굿둑 수문개방 방안, 기수역 조성 및 하구 생태계 복원방안 제시 [2021~2024년] ① 완전개방 대비 용수ㆍ염해 문제 등 대책 마련 및 해결 - 과학적이고 장기적인 접근을 통한 안전한 대비 ② 새로운 낙동강 시대 개막에 맞추어 생태도시 위상 제고 -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 복원으로 에코델타시티 등 서부산권 친환경 생태도시 발전 [2025년~] ○ 낙동강 하굿둑 완전 개방으로 생태도시 부산 발전 - 용수문제 및 염해대책 등 마련된 이후 완전개방 추진 ▣ 기대효과 ○ 하굿둑 개방은 환경과 인간이 공존하는 서부산권 글로벌시티의 첫 출발입니다. ○ 하굿둑 수문개방은 환경과 인간이 상호 소통하기 위한 순리입니다. ○ 1980년대 말, 안정적인 취수원 확보와 도시개발 등의 이유로 둑을 건설하여 현재까지 이용하였으나, 그 강이 신음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생명의 강을 보듬을 때입니다. ○ 하굿둑 수문개방시 바닷물 유통으로 기수역이 조성되어 장어, 연어, 웅어와 재첩, 게 등 생물자원이 풍부해지고 낙동강에 활력이 돌아옵니다. ○ 강과 바다가 만나는 세계적인 관광지로 사람과 기술, 문화가 융합되는 매력적인 생태도시가 됩니다. ○ 해외에서도 실시간 염분모니터링과 해수유통으로 기수 생태계를 조성 ‧ 운영 중인 일본 도네강 등의 성공사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