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연구재단 “시민인문강좌 지원사업”
이방인, 한반도의 기억을 말하다
우리 민족의 터전인 한반도는 드넓은 아시아대륙의 끝자락에 자리하고 있지만, 실크로드의 종착지로서 수많은 사람과 문물이 오가던 열린 세상이었습니다. 이에 고대부터 다양한 직업과 국적을 가진 이방인들이 한반도를 방문하였고, 그들 중 일부는 자신의 기억을 기록을 통해 후세에 전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남긴 기록들을 통해 그들에 눈이 비친 우리의 삶과 역사에 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드넓은 세상과 소통하며 살았던 우리 선조들의 삶이 한반도를 방문하였던 다양한 이방인들의 기억에 의해 다시 되살아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특히 이번 학기는 보다 많은 우리 역사와 문화를 사랑하는 시민 분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복천박물관과 손잡고 함께 진행해 나갈 것입니다. 인문학 확산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한국연구재단의 “시민인문강좌지원사업”에 우수 사업으로 선정되어, 시민 분들께 일상 속에서 인문학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이에 부산・경남 시민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1. 주관: 부산대학교 박물관・복천박물관
2. 후원: 한국연구재단
3. 강의일시: 2014년 10월 2일~12월 11일, 매주 목요일 오후 2시 ~ 5시
4. 강의장소: 부산대학교 효원산학협동관 101호 대회의실・복천박물관
5. 참가대상: 역사와 문화에 관심 있는 일반인, 본교 교직원 및 학생 선착순 100명
6. 문의 : 부산대학교 박물관(051-510-1838)
7. 강의일정
주 차 | 일 자 | 주 제 | 강사 | 장소 |
1주 | 10월 2일 | 신라인들의 바다를 여행하다 -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 | 고경석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 부산대학교 효원산학협동관 101호 |
2주 | 10월 16일 | 중국인이 남겨준 우리말 사전 - 손목의 『계림유사』 | 김지형 경희사이버대 한국어문화학과 | 복천박물관 강의실 |
3주 | 10월 23일 | 국제도시, 고려를 그리다 - 서긍의 『선화봉사고려도경』 | 김대식 성균관대 박물관 | 부산대학교 효원산학협동관 101호 |
4주 | 10월 30일 | 청나라 황제, 조선의 산천을 그리다 - 강희제의 『황여전람도 수록 조선도』 | 장상훈 국립중앙박물관 | 부산대학교 효원산학협동관 101호 |
5주 | 11월 6일 | 유적답사 | 조원영 합천박물관 | 부산대학교 효원산학협동관 101호 |
6주 | 11월 13일 | 일본인이 직접 기록한 전쟁의 참상 - 케이넨의 『조선일일기』 | 박재광 건국대 박물관 | 부산대학교 효원산학협동관 101호 |
7주 | 11월 20일 | 네덜란드인의 13년 조선난파기 - 하멜의 『하멜표류기』 | 정호훈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복천박물관 강의실 |
8주 | 11월 27일 | 고요한 아침의 나라를 찾은 이방인 - 서양인이 본 전근대 한국의 이미지 | 홍순민 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부산대학교 효원산학협동관 101호 |
9주 | 12월 4일 | 동아시아 고대사를 노래하다 - 진수의 『삼국지 위지 동이전』 | 선석열 부산대 사학과 | 부산대학교 효원산학협동관 101호 |
10주 | 12월 11일 | 일본에 남겨진 한반도의 기억 - 『일본서기』 | 연민수 동북아역사재단 | 부산대학교 효원산학협동관 101호 |